경기연구원, '드론 기반 경기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제안'...도시공간 활용 목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양 일산호수공원의 3D 촬영 예시물.경기도제공
드론(무인비행장치) 촬영 결과물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해 도시계획, 재난안전 등 행정 업무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드론 기반의 경기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발표했다.
3차원 공간정보란 기존 2차원 영상물에 높이 정보와 지표면 모델 등을 포함해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표현한 것이다. 고층화 및 복잡화된 현대 도시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려면 기본 사진측량을 위한 드론 활용이 중요한데, 도의 행정에서 드론 수요는 점점 커지고 있어 도의 토지정보과에 접수된 드론 지원 건수는 2017년 40건에서 2020년 620건으로 15.5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 중 3차원 공간정보 관련은 4건으로, 아직 단순 동영상 촬영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이 지난 4월 도청과 시‧군 등 공무원 2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5%만이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했다. 실무 활용 경험자는 10.0%에 그쳤다.
3차원 공간정보를 업무에 도입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질의에서는 음답자 51.0%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응담자들은 활용 가능한 분야로는 ▲토지·건축물 16.2% ▲도로·교통 16.2% ▲도시계획 16.2% ▲방재 12.8% 등의 순으로 지목했다.
드론 공간정보 서비스 운영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는 ▲드론 교육 확대 26.1% ▲드론 운영 플랫폼 도입 18.0% ▲데이터 구축 기술 16.8% ▲지속적인 사업을 위한 예산 확보 13.0% 등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은 기존 드론 업무 활용도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자고 주장했다.
분야별 사업으로 ▲(도시계획) 3D 기반 위원회 심의업무 지원 ▲(재난안전) 재난 현장 탐색 및 시뮬레이션 ▲(도로・교통) 도로 시설물 관리 및 민원 대응 ▲(환경) 현장 단속 및 시설물 관리 등을 제안했다.
한편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드론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 드론통합센터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토지정보과 내 공간정보팀과 드론팀을 분리해 업무 조정하는 등 전담 조직이 있어야 한다”며 “드론 운영 전반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속 사업 발굴 및 지원, 현재 운영 중인 드론스페이스(경기부동산포털 내 항공영상 공유시스템) 기능 고도화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드론(무인비행장치) 촬영 결과물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해 도시계획, 재난안전 등 행정 업무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드론 기반의 경기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발표했다.
3차원 공간정보란 기존 2차원 영상물에 높이 정보와 지표면 모델 등을 포함해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표현한 것이다. 고층화 및 복잡화된 현대 도시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려면 기본 사진측량을 위한 드론 활용이 중요한데, 도의 행정에서 드론 수요는 점점 커지고 있어 도의 토지정보과에 접수된 드론 지원 건수는 2017년 40건에서 2020년 620건으로 15.5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 중 3차원 공간정보 관련은 4건으로, 아직 단순 동영상 촬영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이 지난 4월 도청과 시‧군 등 공무원 2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5%만이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했다. 실무 활용 경험자는 10.0%에 그쳤다.
3차원 공간정보를 업무에 도입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질의에서는 음답자 51.0%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응담자들은 활용 가능한 분야로는 ▲토지·건축물 16.2% ▲도로·교통 16.2% ▲도시계획 16.2% ▲방재 12.8% 등의 순으로 지목했다.
드론 공간정보 서비스 운영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는 ▲드론 교육 확대 26.1% ▲드론 운영 플랫폼 도입 18.0% ▲데이터 구축 기술 16.8% ▲지속적인 사업을 위한 예산 확보 13.0% 등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은 기존 드론 업무 활용도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자고 주장했다.
분야별 사업으로 ▲(도시계획) 3D 기반 위원회 심의업무 지원 ▲(재난안전) 재난 현장 탐색 및 시뮬레이션 ▲(도로・교통) 도로 시설물 관리 및 민원 대응 ▲(환경) 현장 단속 및 시설물 관리 등을 제안했다.
한편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드론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 드론통합센터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토지정보과 내 공간정보팀과 드론팀을 분리해 업무 조정하는 등 전담 조직이 있어야 한다”며 “드론 운영 전반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속 사업 발굴 및 지원, 현재 운영 중인 드론스페이스(경기부동산포털 내 항공영상 공유시스템) 기능 고도화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