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배터리 특허 사용권 취득 기업…中 양극재 1위 디나노닉에 주목하라
지난 10월 BYD, CATL이 테슬라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수주했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실제 수주를 받았는지를 현시점에서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보도된 수주 규모(총 55GWh)는 올 8개월 동안 CATL이 테슬라에 공급한 배터리의 12배 수준이다. 이 물량은 테슬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테슬라가 지난해 9월 ‘배터리 데이’에서 LFP 배터리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폭스바겐, 포드, 벤츠, 현대자동차 등 많은 글로벌 완성차 기업이 LFP 배터리를 언급하기 시작했다. 엔트리 모델 등 주행가능거리가 길지 않은 모델에 LFP 배터리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시장의 관심은 글로벌 LFP 배터리 점유율 1, 2위인 CATL과 BYD 외 중소형 2차전지 기업의 수주도 확대될 수 있을까다. CATL과 BYD의 매우 적극적인 생산능력 확대, 트랙 레코드 등을 고려할 때 낙수효과가 두 회사 이하 기업까지 미칠 가능성은 낮다. 글로벌 LFP 배터리산업 내 1~5위 기업의 생산능력 계획을 살펴보면, 올해 LFP 배터리 생산능력 1위인 CATL과 2위인 BYD는 2025년에도 1위와 2위를 유지할 것이다. 즉 경쟁구도의 변화는 없다.

글로벌 LFP 배터리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과 달리 정작 중국은 LFP 배터리 특허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수출을 하면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므로 LFP의 가장 큰 장점인 가격경쟁력이 사라진다.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컨소시엄과의 소송을 통해 중국에서는 LFP 특허가 무효화됐다. 중국에서는 특허 사용료 없이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중국 외 지역으로의 수출은 별개다. 양극재 업체가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므로 해외 수출 시 LFP 배터리의 가격경쟁력이 사라진다.

그런데 중국 양극재 기업 중 특허 사용권을 취득한 기업이 있다. 풀리드(북대선행)와 디나노닉(덕방납미)이다. 풀리드는 베이징대와 산학협력으로 설립된 회사다. 주로 신소재를 개발하는 업체이므로 LFP 배터리 수출량이 많아져도 사실상 수주가 의미있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LFP 배터리 특허 사용권 취득 기업…中 양극재 1위 디나노닉에 주목하라
디나노닉은 중국 양극재 점유율 1위 기업이다. 글로벌 완성차의 LFP 배터리 채택은 디나노닉의 점유율을 공고히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