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대출 절벽에 내년 총량 규제 완화…중금리 대출은 한도서 제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승범 금융위원장 간담회
대출 증가세 둔화에 집값 주춤
내년 개인별 DSR 강화되면
획일적 총량 규제 안해도
대출증가율 4~5% 관리 가능
돈 빌리기 어려워진 서민에겐
중금리 대출·정책금융 지원
대출 증가세 둔화에 집값 주춤
내년 개인별 DSR 강화되면
획일적 총량 규제 안해도
대출증가율 4~5% 관리 가능
돈 빌리기 어려워진 서민에겐
중금리 대출·정책금융 지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 여파로 대출 금리가 기준금리 상승세보다 빠르게 오르는 등 수요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대출 상품 현수막이 내걸린 서울의 한 시중은행.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244744.1.jpg)
“총량 목표 자체는 유효”
![고승범 금융위원장](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244809.1.jpg)
내년 1월부터 규제지역(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에서 시가 6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더라도 기존 대출과 신규 대출의 합계액이 2억원을 넘으면 DSR 40% 규제가 적용된다. 내년 7월부터는 2억원이 아닌 1억원만 초과해도 DSR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지금은 시가 6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경우에만 DSR을 40%로 제한하고 있다.
![서민대출 절벽에 내년 총량 규제 완화…중금리 대출은 한도서 제외](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246008.1.jpg)
금융당국 관계자는 “DSR 규제가 확대되면 상환능력만큼 빌리는 관행이 정착될 것”이라며 “올해처럼 무리한 총량 규제를 하지 않더라도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인 연 4~5% 수준에서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득 대비 대출이 많은 사람일수록 추가 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는 만큼 각 금융사의 총량관리가 수월해질 것이란 설명이다.
“서민·실수요자 지원 확대”
서민·실수요자 대출은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금융위는 중금리 대출과 정책 서민금융 상품을 총량 규제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이달 중 최종 확정한다. 또 올해 32조원 규모였던 중금리 대출을 내년엔 35조원으로 확대하고, 햇살론 등 정책서민금융도 올해 9조6000억원에서 10조원대까지 늘릴 계획이다.지난 9월 도입한 ‘서민우대 보금자리론’을 내년에도 꾸준히 공급한다. 주택금융공사가 취급하는 고정금리 주담대인 보금자리론에서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서민·실수요자에게 대출 금리를 0.1%포인트 추가로 깎아주는 방식이다. 주금공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는 ‘u보금자리론’ 금리는 연 3.10%(만기 10년)∼3.40%(만기 40년)다. 주택 가격이 시가 5억원(지방 3억원) 이하이며 부부 합산소득 4500만원 이하면 서민우대 보금자리론을 신청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취해진 특단의 신용완화 국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시장금리 상승 흐름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도 “소득·신용이 충분하지 않은 취약 계층이 급격한 상환 부담 확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호기/정소람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