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17% 빠질 것, 이유는…" 서울대 교수의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경민 서울대 교수, 최근 ‘부동산 트렌드 2022’ 출간
"금리 인상이 변곡점…소득 상승 변수 많이 놓쳐"
"금리 인상이 변곡점…소득 상승 변수 많이 놓쳐"
최근 ‘부동산 트렌드 2022’를 펴낸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기준금리가 1.5%가 되면 집값은 2021년 6월 대비 약 10~17%가 빠진다”고 전망했다.
김경민 교수는 5일 보도된 주간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집값 변동에서 금리 인상 영향이 가장 크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서울 아파트가 지금까지 올랐기 때무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그 변수로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을 생각했는데, 한국은행이 11월25일 기준금리를 1%로 올리면서 변곡점에 돌입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집값이 급등한 배경 중 하나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공급된 유동성을 꼽으며 임대차 3법도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사람이 공급 부족을 이유로 드는데, 데이터를 보면 2019~2020년 서울의 경우 지난 10년 평균치보다 더 많은 아파트가 공급됐다. 그래서 공급 부족은 이슈가 안 된다”며 “코로나19 사태로 금리가 2%대로 떨어진 상황에서 임대차 3법까지 시행돼 매매시장과 함께 전세시장이 뒤흔들렸다. 또 올해는 인플레이션이 부동산 가격을 끌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서울 집값을 기준으로 애기하면 거래량에서 그런(하락) 징후가 나타난다”며 “서울에서는 노도성(노원구‧도봉구‧성동구)이 가장 거래가 활발한데, 올해 3분기 기준 1000건 밖에 거래가 안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년치 평균은 2500건”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집값이 떨어져도 급등하기 전인 지난 2016년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김 교수는 내다봤다. 그 이유로 소득 상승을 꼽았다.
많은 사람들이 소득 상승이라는 변수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한 김 교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부터 2008년 말까지 서울시 기준 중위 소득이 50% 넘게 올랐다”며 “이후 2010년 이후 부동산 경기가 안 좋아 집값은 오랫동안 낮았다. 이 기간 자산을 축적한 사람들이 2016년 이후 부동산시장 상승을 이끈 거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부터 집값이 더 많이 올랐는데, 이때부터 대출 규제로 15억원 넘는 아파트를 현금으로 사는 이들이 등장했다. 그런 사람들이 자기 아파트 가격이 10~20% 떨어졌다고 팔까”라며 “만약 그 집에 대출이 60~80%가량 들어 있다면 상황은 달라지겠지만, 자기 돈 100%로 집을 산 사람이 있는 한 시장은 예전 가격으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또 소득이 높아지면 양질의 주택에 살고 싶다는 열망이 커지는데, 현재 주택시장에 그런 열방이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김경민 교수는 5일 보도된 주간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집값 변동에서 금리 인상 영향이 가장 크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서울 아파트가 지금까지 올랐기 때무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그 변수로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을 생각했는데, 한국은행이 11월25일 기준금리를 1%로 올리면서 변곡점에 돌입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집값이 급등한 배경 중 하나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공급된 유동성을 꼽으며 임대차 3법도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사람이 공급 부족을 이유로 드는데, 데이터를 보면 2019~2020년 서울의 경우 지난 10년 평균치보다 더 많은 아파트가 공급됐다. 그래서 공급 부족은 이슈가 안 된다”며 “코로나19 사태로 금리가 2%대로 떨어진 상황에서 임대차 3법까지 시행돼 매매시장과 함께 전세시장이 뒤흔들렸다. 또 올해는 인플레이션이 부동산 가격을 끌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서울 집값을 기준으로 애기하면 거래량에서 그런(하락) 징후가 나타난다”며 “서울에서는 노도성(노원구‧도봉구‧성동구)이 가장 거래가 활발한데, 올해 3분기 기준 1000건 밖에 거래가 안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년치 평균은 2500건”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집값이 떨어져도 급등하기 전인 지난 2016년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김 교수는 내다봤다. 그 이유로 소득 상승을 꼽았다.
많은 사람들이 소득 상승이라는 변수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한 김 교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부터 2008년 말까지 서울시 기준 중위 소득이 50% 넘게 올랐다”며 “이후 2010년 이후 부동산 경기가 안 좋아 집값은 오랫동안 낮았다. 이 기간 자산을 축적한 사람들이 2016년 이후 부동산시장 상승을 이끈 거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부터 집값이 더 많이 올랐는데, 이때부터 대출 규제로 15억원 넘는 아파트를 현금으로 사는 이들이 등장했다. 그런 사람들이 자기 아파트 가격이 10~20% 떨어졌다고 팔까”라며 “만약 그 집에 대출이 60~80%가량 들어 있다면 상황은 달라지겠지만, 자기 돈 100%로 집을 산 사람이 있는 한 시장은 예전 가격으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또 소득이 높아지면 양질의 주택에 살고 싶다는 열망이 커지는데, 현재 주택시장에 그런 열방이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