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金)로 만든 성처럼 굳건히 관문(門)을 지키는 요새’라는 뜻의 금문도(金門島·진먼다오). 중국 샤먼항에서 빤히 보이는 이 섬은 대만 영토다. 중국과 4㎞, 대만과는 270㎞ 떨어져 있다. 그래서 중국엔 ‘턱 밑의 가시’요, 대만엔 천혜의 군사요충지다. 국공(國共)내전 말기인 1949년 장제스가 대만으로 밀려나면서도 끝까지 사수했다.

이후 양측 교전이 30년 동안 이어졌다. 1958년에는 44일간 포격전이 벌어졌다. 중국이 포탄 47만4000여 발을 퍼붓고, 대만이 12만8000여 발로 반격했다. 그 여파로 섬의 전체 높이가 2m 정도 낮아졌다. 포탄 파편으로 제작한 식칼과 폐허의 수수로 빚은 금문고량주는 대만 특산품이 됐다.

이 섬은 중국의 ‘점령 목표 1호’다. 대만은 섬 전체를 거대한 방어요새로 만들어 맞서고 있다. 인근 작은 섬에는 지대함 미사일을 배치했다. 이 미사일의 타격 대상은 중국 항공모함이다. 중국이 항모를 앞세워 대만해협을 압박하자 미사일 전력으로 맞불을 놓은 셈이다.

최근엔 중국이 이곳과 샤먼을 잇는 ‘다리 건설’을 공식화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지시에 따라 ‘하나의 중국’을 향한 해상대교 기초 설계를 마무리했다고 당국이 밝혔다. 이와 함께 ‘가자 2035 대만’이라는 노래를 학교에 전파하고 있다. 지난달에도 대만 방공식별구역을 150여 차례나 침범한 중국이 ‘화전양면전술’을 펼치며 2035년까지 ‘흡수 통일’을 끝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에선 ‘서해의 독도’로 불리는 격렬비열도(格列飛列島)가 뉴스에 자주 오르내린다. 충남 태안 신진도에서 서쪽으로 약 55㎞ 떨어진 이 열도는 섬들의 모습이 새가 열을 지어 날아가는 것 같다고 해서 이렇게 불린다. 중국 어선이 불법조업을 일삼는 곳이자 공산당의 ‘서해공정’ 타깃이기도 하다. 2014년엔 중국인이 서격렬비도를 매입하려고 한 적도 있다. 이후 정부가 외국인 거래제한구역으로 묶었다.

이곳에 미군의 퇴역 이지스함을 배치하자는 주장이 최근 미국에서 제기됐다. 수명이 다된 군함을 갖다 놓고 미사일 방어 전력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우리에겐 방공망 구축과 한·미 동맹 강화, ‘서해공정’ 견제 등 ‘일거삼득’일 수 있으니 진지하게 검토해볼 만하다. 그렇잖아도 힘의 논리에 따라 ‘격렬’과 ‘비열’ 사이를 오가는 게 국제질서의 냉혹한 현실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