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홍 기술정보진흥원 원장 "민간펀드가 외면하는 제조기업에 100억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자형 R&D 사업 강화할 것
스마트 공장 고도화에도 온힘"
스마트 공장 고도화에도 온힘"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기업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도전적인 연구개발(R&D)을 이끌어내 미래 기술을 개발하는 게 한국 경제의 핵심 역량이 될 겁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설립 20주년을 앞두고 7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이재홍 원장(사진)은 “국내 기업의 경영환경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전환 기로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유일한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이다. R&D 관련 정부 출연금을 받아 유망 혁신 중소기업에 적절히 집행, 지원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기정원의 R&D 집행 예산은 1조8000억원으로, 9700여 개 기업(작년 기준)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기정원은 플랫폼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털(VC)과 달리 제조 중소기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원장은 “제조·하드웨어 기업은 투자 회수 기간이 길어 투자를 받기 어려웠던 게 사실”이라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을 선정해 전용 R&D 사업을 지원하는 업무 등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본력이 약한 중소·벤처기업의 R&D 확대를 위해 기정원이 각별히 신경쓰는 사업은 ‘투자형 R&D’다. 투자형 R&D는 민간 VC가 선별해 미리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매칭투자 방식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사업으로 지난해 도입된 뒤 계속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 원장은 “실패 확률이 높아 민간 투자가 어려운 프로젝트를 특별히 지정 과제로 선정해 100억원 이상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에 맞춰 올해 중기부 전체 R&D 지원 예산의 2.8% 수준인 투자형 R&D 규모도 2025년까지 10%가량(3000억원 목표)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성과를 창출한 기업과 투자자를 상대로 정부 지분을 60%까지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해 참여 기업들의 호응이 높다는 평가다.
정부 예산으로 집행하는 투자형 R&D와 별도로 최근 기정원은 중기 R&D 자금을 전담·예치하는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해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300억원 규모 투자금도 조성했다. 이 원장은 “은행과의 실무협의회를 통해 비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집중 발굴해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공장의 보급 및 고도화 사업도 기정원의 주요 사업으로 꼽힌다. 이 원장은 지난해 취임한 뒤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개별 스마트공장을 연결하는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에 중점을 뒀다. 그는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을 이용해 올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30여 개 협력사와 지능형 생산 공정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며 “2025년까지 이 같은 디지털 클러스터를 100개 구축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한 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서 R&D 관련 직무를 두루 경험한 산업통으로 꼽힌다. 2017년부터 중기부로 이동해 벤처혁신정책관 등을 지낸 뒤 지난해 기정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설립 20주년을 앞두고 7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이재홍 원장(사진)은 “국내 기업의 경영환경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전환 기로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정원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유일한 중소기업 R&D 지원 전문기관이다. R&D 관련 정부 출연금을 받아 유망 혁신 중소기업에 적절히 집행, 지원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기정원의 R&D 집행 예산은 1조8000억원으로, 9700여 개 기업(작년 기준)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기정원은 플랫폼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털(VC)과 달리 제조 중소기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원장은 “제조·하드웨어 기업은 투자 회수 기간이 길어 투자를 받기 어려웠던 게 사실”이라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을 선정해 전용 R&D 사업을 지원하는 업무 등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본력이 약한 중소·벤처기업의 R&D 확대를 위해 기정원이 각별히 신경쓰는 사업은 ‘투자형 R&D’다. 투자형 R&D는 민간 VC가 선별해 미리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매칭투자 방식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사업으로 지난해 도입된 뒤 계속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 원장은 “실패 확률이 높아 민간 투자가 어려운 프로젝트를 특별히 지정 과제로 선정해 100억원 이상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에 맞춰 올해 중기부 전체 R&D 지원 예산의 2.8% 수준인 투자형 R&D 규모도 2025년까지 10%가량(3000억원 목표)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성과를 창출한 기업과 투자자를 상대로 정부 지분을 60%까지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해 참여 기업들의 호응이 높다는 평가다.
정부 예산으로 집행하는 투자형 R&D와 별도로 최근 기정원은 중기 R&D 자금을 전담·예치하는 기업은행, 하나은행과 협력해 혁신적인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300억원 규모 투자금도 조성했다. 이 원장은 “은행과의 실무협의회를 통해 비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집중 발굴해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공장의 보급 및 고도화 사업도 기정원의 주요 사업으로 꼽힌다. 이 원장은 지난해 취임한 뒤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개별 스마트공장을 연결하는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에 중점을 뒀다. 그는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을 이용해 올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30여 개 협력사와 지능형 생산 공정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며 “2025년까지 이 같은 디지털 클러스터를 100개 구축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27회 기술고시에 합격한 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서 R&D 관련 직무를 두루 경험한 산업통으로 꼽힌다. 2017년부터 중기부로 이동해 벤처혁신정책관 등을 지낸 뒤 지난해 기정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