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스판덱스 만들려 원료 R&D에만 6년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효성 스판덱스 1호 사원'
임규호 공장장
격차 좁혀오는 중국과의 경쟁
고품질·고생산성 기술로 1위 수성
임규호 공장장
격차 좁혀오는 중국과의 경쟁
고품질·고생산성 기술로 1위 수성
“기술 개발과 품질 확보만이 글로벌 섬유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길입니다.” 30년 효성 스판덱스 역사의 ‘산증인’으로 불리는 임규호 효성 구미공장 공장장(상무·사진)이 항상 직원들에게 강조하는 말이다.
임 공장장은 효성의 ‘스판덱스 1호 사원’이다. 1991년 효성의 모태인 동양나이론에 입사해 이듬해 효성이 국내 최초로 스판덱스를 자체 개발할 때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구미공장 생산팀, 중국·터키법인 공장장 등을 두루 거친 뒤 현재 최고생산책임자(CPO) 자리에서 신제품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구미공장에서 기자와 만난 임 공장장은 “효성에는 연구개발(R&D) DNA가 있다”며 “더 이상 섬유산업이 사양산업으로 불리지 않게 된 것도 차별화를 위한 기술 개발 덕분이었다”고 강조했다.
그가 처음 회사에 입사했을 때만 해도 벨벳 원단에 들어가는 스판덱스 섬유를 만드는 것은 큰 도전이었다. 임 공장장은 “지금은 생분해성 스판덱스와 고온에 버티면서도 염색이 잘 되고 피부에 닿을 때 더욱 부드러운 스판덱스를 만드는 게 과제”라며 “30년간 회사가 생산했던 제품을 훑어보면 상전벽해 같은 기술 발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효성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스판덱스 원료인 PTMG도 자체 개발·생산하고 있다. PTMG는 스판덱스의 물성을 결정하는 핵심 원료다. 다양한 종류의 PTMG를 만들어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 임 공장장은 “좋은 스판덱스를 생산하려면 좋은 PTMG 확보가 필수”라며 “원료 생산과 관련된 R&D에만 꼬박 5~6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임 공장장은 최근 가장 큰 고민이 ‘중국과의 경쟁’이라고 했다. 중국 섬유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도 점차 국내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다. 임 공장장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해법도 R&D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품질, 고생산성 기술을 앞세워 중국 현지 업체보다 10~30% 정도 비싼 섬유를 판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1등 자리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미=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임 공장장은 효성의 ‘스판덱스 1호 사원’이다. 1991년 효성의 모태인 동양나이론에 입사해 이듬해 효성이 국내 최초로 스판덱스를 자체 개발할 때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구미공장 생산팀, 중국·터키법인 공장장 등을 두루 거친 뒤 현재 최고생산책임자(CPO) 자리에서 신제품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구미공장에서 기자와 만난 임 공장장은 “효성에는 연구개발(R&D) DNA가 있다”며 “더 이상 섬유산업이 사양산업으로 불리지 않게 된 것도 차별화를 위한 기술 개발 덕분이었다”고 강조했다.
그가 처음 회사에 입사했을 때만 해도 벨벳 원단에 들어가는 스판덱스 섬유를 만드는 것은 큰 도전이었다. 임 공장장은 “지금은 생분해성 스판덱스와 고온에 버티면서도 염색이 잘 되고 피부에 닿을 때 더욱 부드러운 스판덱스를 만드는 게 과제”라며 “30년간 회사가 생산했던 제품을 훑어보면 상전벽해 같은 기술 발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효성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스판덱스 원료인 PTMG도 자체 개발·생산하고 있다. PTMG는 스판덱스의 물성을 결정하는 핵심 원료다. 다양한 종류의 PTMG를 만들어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 임 공장장은 “좋은 스판덱스를 생산하려면 좋은 PTMG 확보가 필수”라며 “원료 생산과 관련된 R&D에만 꼬박 5~6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임 공장장은 최근 가장 큰 고민이 ‘중국과의 경쟁’이라고 했다. 중국 섬유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도 점차 국내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다. 임 공장장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해법도 R&D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품질, 고생산성 기술을 앞세워 중국 현지 업체보다 10~30% 정도 비싼 섬유를 판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1등 자리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미=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