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지주사 전환을 확정하면서 내년 1월 열리는 주주총회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압도적인 지배주주가 없는 포스코 주총의 ‘키’는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이 쥐고 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조만간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안건에 대한 내부 검토에 들어갈 전망이다.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 방향은 통상 투자를 결정하고 집행하는 기금운용본부의 투자위원회에서 먼저 논의한다.

사안에 얽힌 이해관계가 복잡하거나 위원들 사이에 찬반이 팽팽하게 갈려 투자위원회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안건은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수탁위)로 넘어간다. 수탁위는 9명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 통상 합의로 결론을 도출하지만 찬반이 팽팽하게 맞설 경우 다수결로 찬반을 결정하고, 행사 방향을 주총 전에 사전공개한다.

‘오너’가 없는 포스코의 지배구조 특성상 1대주주인 국민연금(지분율 9.75%)의 결정은 주총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다. 사실상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지면 상당수 기관투자가가 이에 동조해 찬성표를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다. 한 연기금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의결권 행사 방향을 결정하기 어려운 소규모 자산운용사들은 국민연금의 판단을 준용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연금은 최근 국내 기업들의 물적분할 안건에 연이어 반대표를 던졌다. 2019년 LG화학의 배터리사업 분할 건을 비롯해 지난해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사업 분할, 2021년 만도의 자율주행 사업부문 분할 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국민연금은 그때마다 “물적분할로 지분 가치가 희석될 가능성 등 주주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모(母)회사 디스카운트’ 논리를 폈다.

일각에선 포스코가 따로 떼어내는 철강부문을 비롯해 주요 신사업 자회사에 대한 상장을 지양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국민연금의 입장이 이전과 다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물적분할을 하더라도 ‘알짜’ 사업인 철강사업을 상장하지 않으면 해당 실적이 그대로 지주회사에 반영돼 국민연금이 반대하는 모회사 디스카운트 논리를 비켜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의 지지를 받기 위해선 포스코가 지주회사 체제 전환의 명분으로 내세운 미래 사업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NH투자증권은 “포스코그룹의 리튬과 니켈, 수소 등 신성장 사업의 구체적인 투자자금 조달 계획과 사업 로드맵 공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는 4.58% 빠진 28만1500원에 장을 마쳤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