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목격자' 광화문은 해방 이후 어떻게 변화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광화문' 특별전…76년 변천사 재조명
'광화문'(光化門)은 조선시대 으뜸 궁궐인 경복궁의 정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인에게 광화문은 웅장한 문이자 문 앞에서 세종대로 사거리까지 뻗은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래서 광화문은 점(點)이면서 선(線)이고, 또 면(面)이다.
복원된 건축물인 광화문은 점, 자동차와 행인이 활발히 오가는 거리는 선, 사람들이 이따금 운집하는 광장은 면이라고 할 수 있다.
광화문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였고, 사람에 비유하자면 수많은 사건을 현장에서 지켜본 목격자였다.
광복 이후 76년이 흐르는 동안 경관이 수시로 바뀌고, 많은 이야기가 켜켜이 쌓였다.
광화문 한편에 자리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현대에 광화문이 겪은 변화상을 재조명하는 특별전 '공간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광화문'을 17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김권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광화문에서는 민주주의를 향한 정치적 열정이 표출되고,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문화 활동이 펼쳐졌다"며 "광화문이 현대사에서 중요한 현장이자 대표 상징 공간이었음을 재발견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순신 동상 모형, 시민회관 개관 당시 소책자,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명패, 캐슬린 스티븐슨 전 주한 미국대사 구술 등 다양한 자료·사진·영상으로 전시장을 채웠다.
전시는 크게 4부로 나뉘며, 대체로 시간순으로 광화문을 설명한다.
각각의 소주제는 '다시 찾은 광화문', '광화문 거리 개발과 건설', '광화문 거리의 현대적 재구성', '광화문 공간의 전환'이다.
현재 세종대로 좌우에 호위하듯 서 있는 건물들이 세워진 연유를 흥미롭게 소개한 점도 이번 전시의 특징이다.
예전에 정부 청사로 사용된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미국대사관은 광화문 현대화의 상징 건물로 1961년 준공됐다.
미국대사관 맞은편 세종문화회관 자리에는 1972년 화재로 소실된 시민회관이 있었다.
시민회관은 이른바 '우남회관'으로 알려진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으로 지어졌으나,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면서 용도가 바뀌었다.
광화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조형물인 충무공 이순신 동상은 1968년 4월 들어섰고, 1980년대에는 교보빌딩과 KT 광화문지사인 국제통신센터 등이 생겨났다.
김 연구사는 "정부는 서울올림픽을 유치한 뒤 도심 스카이라인을 계획하고 고층빌딩 건설을 독려했다"며 "1990년대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가 철거됐고, 광화문은 2010년 제 위치를 찾아 목조 건물로 복원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열고 있는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 국립고궁박물관이 진행 중인 '고궁연화'(古宮年華)와 연계한 협력 전시다.
세 박물관을 돌며 전시를 보면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광화문과 경복궁 일대의 역사적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오늘날 한국인에게 광화문은 웅장한 문이자 문 앞에서 세종대로 사거리까지 뻗은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래서 광화문은 점(點)이면서 선(線)이고, 또 면(面)이다.
복원된 건축물인 광화문은 점, 자동차와 행인이 활발히 오가는 거리는 선, 사람들이 이따금 운집하는 광장은 면이라고 할 수 있다.
광화문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였고, 사람에 비유하자면 수많은 사건을 현장에서 지켜본 목격자였다.
광복 이후 76년이 흐르는 동안 경관이 수시로 바뀌고, 많은 이야기가 켜켜이 쌓였다.
광화문 한편에 자리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현대에 광화문이 겪은 변화상을 재조명하는 특별전 '공간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광화문'을 17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김권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광화문에서는 민주주의를 향한 정치적 열정이 표출되고,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문화 활동이 펼쳐졌다"며 "광화문이 현대사에서 중요한 현장이자 대표 상징 공간이었음을 재발견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순신 동상 모형, 시민회관 개관 당시 소책자,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명패, 캐슬린 스티븐슨 전 주한 미국대사 구술 등 다양한 자료·사진·영상으로 전시장을 채웠다.
전시는 크게 4부로 나뉘며, 대체로 시간순으로 광화문을 설명한다.
각각의 소주제는 '다시 찾은 광화문', '광화문 거리 개발과 건설', '광화문 거리의 현대적 재구성', '광화문 공간의 전환'이다.
현재 세종대로 좌우에 호위하듯 서 있는 건물들이 세워진 연유를 흥미롭게 소개한 점도 이번 전시의 특징이다.
예전에 정부 청사로 사용된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미국대사관은 광화문 현대화의 상징 건물로 1961년 준공됐다.
미국대사관 맞은편 세종문화회관 자리에는 1972년 화재로 소실된 시민회관이 있었다.
시민회관은 이른바 '우남회관'으로 알려진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으로 지어졌으나,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면서 용도가 바뀌었다.
광화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조형물인 충무공 이순신 동상은 1968년 4월 들어섰고, 1980년대에는 교보빌딩과 KT 광화문지사인 국제통신센터 등이 생겨났다.
김 연구사는 "정부는 서울올림픽을 유치한 뒤 도심 스카이라인을 계획하고 고층빌딩 건설을 독려했다"며 "1990년대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가 철거됐고, 광화문은 2010년 제 위치를 찾아 목조 건물로 복원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열고 있는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 국립고궁박물관이 진행 중인 '고궁연화'(古宮年華)와 연계한 협력 전시다.
세 박물관을 돌며 전시를 보면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광화문과 경복궁 일대의 역사적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