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2%대…근원물가는 2% 근접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미크론 변이에 국제유가 하락"
"글로벌 공급병목 장기화 등 물가경로 상방리스크"
"글로벌 공급병목 장기화 등 물가경로 상방리스크"

한국은행은 16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기회복과 함께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당기간 물가안정목표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11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2.3%, 내년은 2.0%로 제시했다.
최근 석유류 가격은 10월 이후 크게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휘발유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국제유가가 하락한 가운데 유류세 인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12월 중 오름폭이 둔화될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수요 측면과 관련해선 "수출이 양호한 증가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민간소비 흐름이 이어지면서 물가상승압력이 높아질 전망"이라며 "유류세 인하 등으로 정부정책 측면의 물가하방압력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내년엔 농축산물가격, 유가 등 공급요인의 영향이 줄면서 올해보다 다소 낮아지겠지만 2%대 상승률을 이어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1%를 상회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내년엔 2% 가까이 상당 폭 높아질 것으로 봤다.한은은 "경기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물가 상승압력이 내구재를 중심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올해 3월까진 0.4%에 머물렀지만 4~8월(1.2%), 9월(1.5%), 10월(2.4%)로 점차 오름 폭이 확대됐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