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해양수산부
자료=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지난 10월 수립된 국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해양수산 분야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는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2050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탄소중립(Net Zero)에서 더 나아가 324만t을 감축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수단 등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해운업, 수산업 등 해양수산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줄이고, 화석연료를 파력(波力), 조력(潮力) 등 해양에너지로 대체하는 한편, 갯벌, 바다숲 등 블루카본을 활용해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계획이다.

우선 해양수산업 중 해운분야에서는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선박으로 전환하여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7만 t(2018년 101.9만t)까지 줄일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저탄소(LNG, 하이브리드 등) 선박 기술을 고도화하고, 무탄소(수소, 암모니아) 선박 기술을 상용화하는 한편, 친환경 관공선과 친환경선박 대체건조 지원을 마중물로 민간 선사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유도한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 확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5만t(2018년 304.2만t)까지 줄일 계획이다. 노후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 건조하고, 기관을 새로 교체하는 등 연료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감척 대상을 선정할 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어선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등 어선어업분야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도모한다.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히트펌프, 인버터와 같은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가공시설에 보급하는 등 수산업 전반을 친환경 체제로 전환한다.양식장과 국가어항 등의 유휴부지와 유휴수역에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도 구축한다.

해수부는 나아가 2050년까지 파력, 조력 등 해양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량 229만t을 감축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증설가능성을 검증하고 신규 대상지를 발굴하기 위한 타당성조사를 추진하는 등 조력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조류·파력발전 등 아직 상용화가 되어 있지 않은 해양에너지는 실증연구를 통해 상용화시킬 계획이다.

해양에너지‧해양바이오 기술과 결합한 수소 생산 기술도 고도화한다. 파력과 풍력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연안부터 시작해 외해까지 실증단지를 구축해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해양미생물을 활용해 고순도의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해양바이오 기반 수소생산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항만 및 기타부문에서는 항만 하역장비의 엔진을 저공해 엔진으로 전환하고,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항만을 구현한다. 지난 11월 수립한 ‘수소항만 조성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해 2040년까지 연간 1300만t의 수소를 항만을 통해 공급하는 등 항만을 수소경제 이행의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해수부는 탄소 중요 감축 수단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상용화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다부처 탄소포집 및 이용‧저장 사업단(CCUS) 내에서 해양수산부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해저 저장소 후보지를 탐색하여 제시하고, 개발된 저장기술을 실제로 구현하는 한편,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외 CCS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의 국가 간 이송을 관할하는 런던의정서 개정 조약 비준절차도 신속하게 이행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정책방향과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대응TF의 논의 내용을 담은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추진계획인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으로서 위기이자 기회"라며 "지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해양수산분야의 탄소중립 정책에 최대한의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