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폭스, 버려진 금속으로 '난방자재' 만들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콘덴서 케이스 최대 생산 업체
자체 개발한 '온돌용 열전도판'
인천 고급 오피스텔 등에 공급
난방비 절감 ESG 자재로 부상
자체 개발한 '온돌용 열전도판'
인천 고급 오피스텔 등에 공급
난방비 절감 ESG 자재로 부상
콘덴서 케이스 생산업체인 스피폭스가 개발한 열전도판이 국내 한 고급 오피스텔의 건설자재로 공급된다. 기존의 콘덴서 제품을 생산하고 남은 자투리 금속을 활용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흐름에 적합한 데다 개별 가정에선 난방비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 효과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6일 건설자재 업계에 따르면 스피폭스는 자사가 개발한 온돌용 열전도판(상품명 파파야시스템·사진)을 인천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오피스텔에 설치하기로 했다. 전용면적 84㎡, 702가구 규모의 고급 오피스텔로 스피폭스가 파파야시스템 브랜드를 개발한 뒤 처음 공급하는 주거 단지다. 스피폭스 관계자는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모델하우스에서 제품을 홍보 중”이라며 “수년 후 오피스텔이 준공되면 100%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피폭스의 온돌용 열전도판은 난방용 온수파이프 열을 바닥 전체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기존 온돌난방 방식에선 보일러를 가동해도 시멘트의 낮은 열전도성 때문에 온수파이프의 바로 위쪽만 온도가 올라가고, 파이프 사이에는 온기가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김용래 스피폭스 대표는 “온돌을 시공할 때 동으로 도금한 열전도판 제품을 온수 파이프 위에 설치하고 시멘트를 타설하면 바닥 온기가 균일하게 퍼지는 효과가 있다”며 “시공 후 난방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파파야시스템이 적용이 되지 않은 가구와 비교해 20%가량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피폭스는 파파야시스템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광주광역시에서 시공 중인 일부 임대아파트에도 시범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1985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전자제품 회로에 쓰이는 콘덴서 케이스를 생산하는 업체다. 콘덴서 케이스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50%가 넘어 산업계에선 ‘숨은 강소기업’으로 꼽힌다. 이전부터 공장에서 콘덴서 케이스 생산을 위해 알루미늄 판에서 원형 조각을 잘라내면 남은 알루미늄은 고철 신세가 돼 회사의 고민거리였다.
김 대표가 알루미늄 재활용 방법을 찾다가 개발한 제품이 파파야시스템이다.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판 양면에 특허 기술을 적용한 특수 동도금과 부식 방지코팅 처리를 해 열 전도성이 높으면서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제품으로 고안했다.
김 대표는 “열전도판으로 시공하면 3.3㎡당 4만~5만원가량 추가 비용이 들어 그동안 채택이 더뎠지만 난방비 절감 효과로 3~5년 내 추가 비용을 다 덜어낼 수 있다”며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어 파파야시스템을 선택하는 건설사와 재건축 조합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16일 건설자재 업계에 따르면 스피폭스는 자사가 개발한 온돌용 열전도판(상품명 파파야시스템·사진)을 인천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오피스텔에 설치하기로 했다. 전용면적 84㎡, 702가구 규모의 고급 오피스텔로 스피폭스가 파파야시스템 브랜드를 개발한 뒤 처음 공급하는 주거 단지다. 스피폭스 관계자는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모델하우스에서 제품을 홍보 중”이라며 “수년 후 오피스텔이 준공되면 100%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피폭스의 온돌용 열전도판은 난방용 온수파이프 열을 바닥 전체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기존 온돌난방 방식에선 보일러를 가동해도 시멘트의 낮은 열전도성 때문에 온수파이프의 바로 위쪽만 온도가 올라가고, 파이프 사이에는 온기가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김용래 스피폭스 대표는 “온돌을 시공할 때 동으로 도금한 열전도판 제품을 온수 파이프 위에 설치하고 시멘트를 타설하면 바닥 온기가 균일하게 퍼지는 효과가 있다”며 “시공 후 난방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파파야시스템이 적용이 되지 않은 가구와 비교해 20%가량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피폭스는 파파야시스템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광주광역시에서 시공 중인 일부 임대아파트에도 시범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1985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전자제품 회로에 쓰이는 콘덴서 케이스를 생산하는 업체다. 콘덴서 케이스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50%가 넘어 산업계에선 ‘숨은 강소기업’으로 꼽힌다. 이전부터 공장에서 콘덴서 케이스 생산을 위해 알루미늄 판에서 원형 조각을 잘라내면 남은 알루미늄은 고철 신세가 돼 회사의 고민거리였다.
김 대표가 알루미늄 재활용 방법을 찾다가 개발한 제품이 파파야시스템이다.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판 양면에 특허 기술을 적용한 특수 동도금과 부식 방지코팅 처리를 해 열 전도성이 높으면서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제품으로 고안했다.
김 대표는 “열전도판으로 시공하면 3.3㎡당 4만~5만원가량 추가 비용이 들어 그동안 채택이 더뎠지만 난방비 절감 효과로 3~5년 내 추가 비용을 다 덜어낼 수 있다”며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어 파파야시스템을 선택하는 건설사와 재건축 조합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