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길이 95.7㎜·폭 1㎝ 미만·330개 분절의 노래기 일종

호주에서 사상 처음으로 다리가 1천개 이상 달린 땅속 벌레가 발견됐다.

노래기(millipede)의 일종인 이 벌레는 이전에 발견된 다리가 가장 많은 생물보다 다리가 550개 이상 더 많다.

호주서 다리 1천개 이상 달린 벌레 사상 처음 발견
미국 버지니아공대(Virginia Tech) 폴 마렉 박사팀은 17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호주 서부 이스턴 골드필즈 지방의 광산 지역 땅속에서 다리가 1천306개인 생물을 발견,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로 이름 붙였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광산지역 지하 환경평가 조사를 하던 중 이 광산 지역에 있는 광물탐사 시추공의 지하 60m 지점에서 이 벌레를 발견했다.

실처럼 긴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의 몸은 폭이 최대 0.95㎜, 길이는 95.7㎜이며, 최대 330개의 분절로 이루어져 있다.

호주서 다리 1천개 이상 달린 벌레 사상 처음 발견
깊은 땅속에 사는 다른 생물들처럼 눈은 없고 원뿔형 머리에는 더듬이와 부리가 달려 있다.

몸에는 분절마다 두 쌍의 짧은 다리가 있어 모두 1천306개나 된다.

분절마다 다리 두 쌍이 달린 노래기류는 분절마다 한 쌍의 다리가 있는 지네류(centipede)와는 다르다.

이전까지 발견된 노래기류에서 다리가 가장 많은 것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견된 '일라크메 플레니페스'(Illacme plenipes)로 최대 750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호주서 다리 1천개 이상 달린 벌레 사상 처음 발견
연구팀은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와 일라크메 플레니페스를 분석한 결과 두 종은 먼 친척 관계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두 종 모두 서식지인 깊은 땅속의 좁은 구멍에서 움직이는 힘을 만들어내기 위해 몸이 수많은 분절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어 이번 발견은 이스턴골드필즈 지역이 지닌 생물다양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 지역의 광업이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하 생태계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