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차 거부했다며 기사 폭행…분노조절장애 범죄 줄이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극적 디지털 미디어 영향
'코로나 블루'로 더 늘어난 듯
'코로나 블루'로 더 늘어난 듯
서울지하철 1호선 가산디지털역 근처 다세대주택 앞에서 TV가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집주인에게 벽돌을 던진 40대 남성이 경찰에 지난 15일 입건됐다. 14일 관악구에선 20대 남성이 승차 요청을 무시했다며 버스 기사를 폭행했다. 올 8월 대구에서 친할머니를 살해한 10대 형제 중 동생은 분노조절장애 치료를 받고 있다.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 늘면서 이와 관련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우울감이 높아진 가운데 사회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인프라도 부족해 분노조절 장애와 관련된 우발적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습관 및 충동장애’ 환자는 지난해 6826명으로 2016년 5920명에 비해 15.3% 증가했다. 지난해 15~34세 환자는 총 4085명으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 정신 질환이 없는데도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환자를 습관 및 충동장애로 진단한다. 흔히 말하는 분노조절장애가 대표적인 증상이다.
습관 및 충동장애의 대표적 원인은 전두엽 기능 약화다. 전두엽은 울분, 답답함, 분노 등의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한 부분으로 15~25세에 발달한다. 이해국 경기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전두엽 기능이 약화되고 분노 조절이 어려워진 이유에 대해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과 코로나19 확산 등 두 가지를 꼽았다.
그는 “청소년기 무방비로 디지털 미디어의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면 충동을 조절하는 전두엽 기능이 약화되고 20대가 돼도 정상적인 충동 조절 능력이 덜 발달한 상태로 굳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자 사람들이 함께 모여 오락이나 여가를 통해 억눌린 충동과 공격성을 건강하게 발산하지 못하면서 우울감, 분노가 누적된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자신의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사소한 이유로 우발적인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전체 범죄 중 범행 동기가 ‘우발적’인 범죄 비율은 지난해 17.2%를 차지했다. 2016년 13.8%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일자리가 없고 공정성 문제가 불거지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불만과 스트레스가 쌓여 있다가 어떤 계기로 분노가 폭발할 때 우발적 범죄가 발생한다”며 “원칙을 제대로 세워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등 사회 전체의 분노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 늘면서 이와 관련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우울감이 높아진 가운데 사회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인프라도 부족해 분노조절 장애와 관련된 우발적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습관 및 충동장애’ 환자는 지난해 6826명으로 2016년 5920명에 비해 15.3% 증가했다. 지난해 15~34세 환자는 총 4085명으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 정신 질환이 없는데도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환자를 습관 및 충동장애로 진단한다. 흔히 말하는 분노조절장애가 대표적인 증상이다.
습관 및 충동장애의 대표적 원인은 전두엽 기능 약화다. 전두엽은 울분, 답답함, 분노 등의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한 부분으로 15~25세에 발달한다. 이해국 경기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전두엽 기능이 약화되고 분노 조절이 어려워진 이유에 대해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과 코로나19 확산 등 두 가지를 꼽았다.
그는 “청소년기 무방비로 디지털 미디어의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면 충동을 조절하는 전두엽 기능이 약화되고 20대가 돼도 정상적인 충동 조절 능력이 덜 발달한 상태로 굳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자 사람들이 함께 모여 오락이나 여가를 통해 억눌린 충동과 공격성을 건강하게 발산하지 못하면서 우울감, 분노가 누적된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자신의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사소한 이유로 우발적인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전체 범죄 중 범행 동기가 ‘우발적’인 범죄 비율은 지난해 17.2%를 차지했다. 2016년 13.8%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일자리가 없고 공정성 문제가 불거지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불만과 스트레스가 쌓여 있다가 어떤 계기로 분노가 폭발할 때 우발적 범죄가 발생한다”며 “원칙을 제대로 세워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등 사회 전체의 분노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