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SK하이닉스에 "경쟁사 시장진입 도와라" 조건 걸어(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술 이전은 아냐"…중 '반도체 자급' 활용 의도 드러내
해당 조건 위반 땐 반독점법으로 '처리' 예고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인수를 승인하면서 '다른 경쟁사의 시장 진입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측은 기업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장 진입을 원하는 자국 기업에 SK하이닉스가 안정적 낸드 물량을 공급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중국 정부가 인수 승인을 지렛대 삼아 자국의 '반도체 자급' 확대를 도모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22일 인수를 승인하면서 6개의 조건을 내걸었는데 이 중 '타기업 지원'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국은 공고에서 "한 개의 제3 경쟁자가 기업급 솔리드 SSD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SSD는 낸드를 이용한 저장 장치로 자기 방식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데 SK하이닉스가 인수하기로 한 중국 다롄(大連) 소재 인텔의 팹(반도체 생산 공장)은 주로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를 제조하는 곳이다.
중국은 공고에서 '제3 경쟁자'가 어느 기업이 될 것인지에 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이 미중 '기술 전쟁' 속에서 반도체 자급에 사활을 걸고 있는 점에 비춰보면 중국 기업의 SSD 시장 진출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말고 다른 나라 기업을 도우라고 이런 조항을 넣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 조항은 중국 기업 지원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는 "저사양 낸드 제품을 제조하는 중국 기업이 있고, 이 회사가 고사양 낸드 제품을 기반으로 한 기업용 SSD 시장에 진입하고자 한다"며 "향후 해당 기업이 고사양 SSD를 만드는데 필요한 낸드 제품 공급을 당사로부터 지속 공급받기를 원하고 있는데 메모리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며 "당사와 인텔이 보유한 SSD 기술이 이전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처럼 자체적으로 생산한 낸드로 SSD까지 만드는 업체도 있고, 타사에서 낸드를 공급받아 이를 기반으로 SSD를 만드는 업체도 있다.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의 가장 큰 소비처는 대량의 서버가 들어가는 데이터센터다.
중국은 작년부터 경기 부양을 위한 '신 인프라' 차원에서 데이터센터 건설을 적극적으로 독려 중인데 데이터센터 내 서버의 저장 장치로 SSD가 쓰이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중국에서 현재 낸드 시장에서 그나마 존재감이 있는 업체는 '중국의 반도체 항모'로 불리는 칭화유니(淸華紫光) 산하의 낸드 제조사인 YMTC(長江存儲) 정도다.
다만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에 지원을 요구한 업체는 YMTC는 아닌 규모가 더 작은 업체인 것으로 전해졌다.
SSD는 일반 낸드보다 더욱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SSD는 양산형 낸드에 데이터 교환 작업을 통제하는 컨트롤러라고 하는 정교한 부품을 결합해 만드는데낸드를 아무리 많이 생산해도 난도가 높은 컨트롤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SSD 시장에 진출할 수 없다.
SK하이닉스 역시 SSD 사업 초기 컨트롤러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당국이 내건 다른 조건들도 시장경쟁 제한을 막는 것과 함께 자국의 반도체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차원의 것들로 평가된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 향후 5년간 다롄 공장 생산량 지속 확대 ▲ 승인일 기준 과거 24개월 평균가 이상 판매 금지 ▲ 공평·합리·비차별 원칙으로 중국 시장에서 모든 상품 공급 등 조건을 요구했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SK하이닉스가 이 같은 승인 조건을 위반할 때는 반독점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신냉전 속에서 반도체는 중국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으로 손꼽힌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서버에 들어가는 AP와 중앙처리장치(CPU)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부터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반도체 제품을 수입에 의존한다.
작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3천800억 달러(약 453조원)에 달했다.
이는 작년 중국의 전체 수입액 중 약 18%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화웨이(華爲) 제재 사례가 보여준 것처럼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아킬레스건'을 집요하게 공략하면서 중국의 첨단 반도체 개발 속도를 저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급률을 최소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SMIC 등 여러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당 조건 위반 땐 반독점법으로 '처리' 예고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인수를 승인하면서 '다른 경쟁사의 시장 진입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측은 기업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장 진입을 원하는 자국 기업에 SK하이닉스가 안정적 낸드 물량을 공급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중국 정부가 인수 승인을 지렛대 삼아 자국의 '반도체 자급' 확대를 도모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22일 인수를 승인하면서 6개의 조건을 내걸었는데 이 중 '타기업 지원'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국은 공고에서 "한 개의 제3 경쟁자가 기업급 솔리드 SSD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SSD는 낸드를 이용한 저장 장치로 자기 방식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데 SK하이닉스가 인수하기로 한 중국 다롄(大連) 소재 인텔의 팹(반도체 생산 공장)은 주로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를 제조하는 곳이다.
중국은 공고에서 '제3 경쟁자'가 어느 기업이 될 것인지에 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이 미중 '기술 전쟁' 속에서 반도체 자급에 사활을 걸고 있는 점에 비춰보면 중국 기업의 SSD 시장 진출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말고 다른 나라 기업을 도우라고 이런 조항을 넣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 조항은 중국 기업 지원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는 "저사양 낸드 제품을 제조하는 중국 기업이 있고, 이 회사가 고사양 낸드 제품을 기반으로 한 기업용 SSD 시장에 진입하고자 한다"며 "향후 해당 기업이 고사양 SSD를 만드는데 필요한 낸드 제품 공급을 당사로부터 지속 공급받기를 원하고 있는데 메모리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며 "당사와 인텔이 보유한 SSD 기술이 이전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처럼 자체적으로 생산한 낸드로 SSD까지 만드는 업체도 있고, 타사에서 낸드를 공급받아 이를 기반으로 SSD를 만드는 업체도 있다.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의 가장 큰 소비처는 대량의 서버가 들어가는 데이터센터다.
중국은 작년부터 경기 부양을 위한 '신 인프라' 차원에서 데이터센터 건설을 적극적으로 독려 중인데 데이터센터 내 서버의 저장 장치로 SSD가 쓰이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중국에서 현재 낸드 시장에서 그나마 존재감이 있는 업체는 '중국의 반도체 항모'로 불리는 칭화유니(淸華紫光) 산하의 낸드 제조사인 YMTC(長江存儲) 정도다.
다만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에 지원을 요구한 업체는 YMTC는 아닌 규모가 더 작은 업체인 것으로 전해졌다.
SSD는 일반 낸드보다 더욱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SSD는 양산형 낸드에 데이터 교환 작업을 통제하는 컨트롤러라고 하는 정교한 부품을 결합해 만드는데낸드를 아무리 많이 생산해도 난도가 높은 컨트롤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SSD 시장에 진출할 수 없다.
SK하이닉스 역시 SSD 사업 초기 컨트롤러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당국이 내건 다른 조건들도 시장경쟁 제한을 막는 것과 함께 자국의 반도체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차원의 것들로 평가된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 향후 5년간 다롄 공장 생산량 지속 확대 ▲ 승인일 기준 과거 24개월 평균가 이상 판매 금지 ▲ 공평·합리·비차별 원칙으로 중국 시장에서 모든 상품 공급 등 조건을 요구했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SK하이닉스가 이 같은 승인 조건을 위반할 때는 반독점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신냉전 속에서 반도체는 중국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으로 손꼽힌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서버에 들어가는 AP와 중앙처리장치(CPU)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부터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반도체 제품을 수입에 의존한다.
작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3천800억 달러(약 453조원)에 달했다.
이는 작년 중국의 전체 수입액 중 약 18%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화웨이(華爲) 제재 사례가 보여준 것처럼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아킬레스건'을 집요하게 공략하면서 중국의 첨단 반도체 개발 속도를 저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급률을 최소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SMIC 등 여러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