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임상 5배…신경질환 치료제 시장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매·뇌전증·파킨슨 치료제
디앤디파마텍 등 속속 임상
디앤디파마텍 등 속속 임상
세계적으로 고령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 질환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크게 늘고 있다. 고령 인구 증가 추이를 고려할 때 신경 질환 치료제 시장이 항암제 못지않은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제약·바이오 업계에는 더할 나위 없는 ‘블루오션’ 시장인 셈이다.
23일 질병관리청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에 따르면 이날 현재 국내에 등록된 신경계 질환 임상은 총 49건이다. 신경계 질환은 주로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뇌전증(간질)같이 뇌나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분야는 10년 전인 2011년만 해도 임상 건수가 3건에 불과했다. 2016년까지도 9건에 그쳤던 임상 건수는 이듬해 14건으로 늘더니 2018년 25건, 2019년 35건으로 증가했다. 작년에는 39건이 등록됐다. 올해 기준으로 임상 건수가 10년 새 16배, 5년 새 5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연구자 임상으로 진행되고 있고, 아리바이오 디앤디파마텍 등 바이오벤처들의 임상은 주로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최근 관심이 높아졌지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치매 치료제 시장은 ‘비인기 종목’으로 통했다. 개발 기간이 워낙 긴 데다 난도 자체가 높기 때문이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왜 발병하는지조차 아직 명확하게 정립된 이론이 없다.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쌓여서일 것이라는 유력한 ‘가설’이 있는 정도다. 이 때문에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은 항암제와 순환계·소화계·호흡계 질환 등에 밀려 만년 후순위였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경계 질환 치료제의 성장성에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2067년 세계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18.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9.1%에서 2배 이상으로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미국 바이오젠의 ‘아두헬름’(성분명 아두카누맙)을 알츠하이머 치료제로는 18년 만에 승인하면서 치료제 개발 경쟁에 불을 댕겼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치료 효과에 논란이 있는 아두헬름을 승인한 것은 그만큼 알츠하이머 치료 신약이 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
23일 질병관리청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에 따르면 이날 현재 국내에 등록된 신경계 질환 임상은 총 49건이다. 신경계 질환은 주로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뇌전증(간질)같이 뇌나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분야는 10년 전인 2011년만 해도 임상 건수가 3건에 불과했다. 2016년까지도 9건에 그쳤던 임상 건수는 이듬해 14건으로 늘더니 2018년 25건, 2019년 35건으로 증가했다. 작년에는 39건이 등록됐다. 올해 기준으로 임상 건수가 10년 새 16배, 5년 새 5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연구자 임상으로 진행되고 있고, 아리바이오 디앤디파마텍 등 바이오벤처들의 임상은 주로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최근 관심이 높아졌지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치매 치료제 시장은 ‘비인기 종목’으로 통했다. 개발 기간이 워낙 긴 데다 난도 자체가 높기 때문이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왜 발병하는지조차 아직 명확하게 정립된 이론이 없다.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쌓여서일 것이라는 유력한 ‘가설’이 있는 정도다. 이 때문에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은 항암제와 순환계·소화계·호흡계 질환 등에 밀려 만년 후순위였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경계 질환 치료제의 성장성에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2067년 세계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18.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9.1%에서 2배 이상으로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미국 바이오젠의 ‘아두헬름’(성분명 아두카누맙)을 알츠하이머 치료제로는 18년 만에 승인하면서 치료제 개발 경쟁에 불을 댕겼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치료 효과에 논란이 있는 아두헬름을 승인한 것은 그만큼 알츠하이머 치료 신약이 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