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황사 발원지 몽골에 숲 조성…사막에 '희망의 싹' 틔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농업
15년간 3046㏊ 규모 숲 조성
놀이터·체육시설·수목원 설치
2026년까지 803만달러 투입
한국형 산림관리 모델 전수
"사막화·토지오염 방지에 기여"
15년간 3046㏊ 규모 숲 조성
놀이터·체육시설·수목원 설치
2026년까지 803만달러 투입
한국형 산림관리 모델 전수
"사막화·토지오염 방지에 기여"
산림청은 지난 9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환경관광부와 내년부터 추진할 ‘한·몽골 사막화·황사 방지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는 같은 달 양국 대통령의 정상회담 뒤 발표한 ‘한·몽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공동선언’을 이행하고 2007년부터 시작한 한·몽 간 산림협력 사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한 조치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한·몽 국제산림협력 사업은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앞으로 동북아의 상징적인 사업으로 키워 동북아 지역 협력을 가속화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청은 2026년까지 803만달러를 투입해 몽골에 한국형 산림관리 모델(K산림복원)을 전수한다고 27일 발표했다. 2007년부터 시작한 몽골 사막화·황사 방지를 위한 그린벨트 조성 계획에 따라 몽골 3000㏊에 숲을 조성한 산림청이 이제 나무심기에 이어 혼농임업, 생태관광 등 주민소득 증대 프로그램을 전수하는 것이다.
한반도 황사 유입의 최대 발원지인 몽골은 국토의 78%에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산업·도시화에 따른 대기오염도 사회문제화하고 있다. 이에 몽골 정부는 사막화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2005~2035년까지 3단계에 걸쳐 그린벨트 조성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산림청은 한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 경험을 전수하고 황사 발원지에 사막화 방지 조림을 추진하기 위해 2007년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을 설립했다. 1단계 사업은 2007~2016년까지 사막화 방지 조림에 초점을 맞췄다. 춥고 건조한 날씨, 방목 가축 피해 등 쉽지 않은 현지 여건을 극복하고 사막화 지역에 3046㏊의 숲을 성공적으로 조성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몽골의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 특성상 조림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의 적극적인 노력과 사업 과정에서 주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사업에 반영해 현지화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2단계 사업은 2017~2021년까지 조림지 이관 및 도시숲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5년간 추진한 도시숲 조성사업을 통해 울란바토르에 도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산림휴양공간으로 ‘한·몽 우호의 숲’(40㏊)을 조성했다. 도시숲에는 방문자 안내센터, 놀이터, 체육시설, 자생수목원, 바닥분수 등을 설치했다. 산림청은 지난 9월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의 ‘10억 그루 나무심기 선언’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산림청은 1·2단계로 추진한 한·몽 양자 산림협력 사업의 성과를 이어받아 내년부터 3단계 산림협력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3단계 한·몽 산림협력 사업은 기존 사막화 방지 조림에서 나아가 산불 등 산림재해관리 협력과 혼농임업 및 생태관광, 민관 협력을 통한 도시숲 조성 등을 추진한다.
우리 녹화 기술로 황량한 사막이 푸른 숲으로 바뀌자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 사업이 단지 나무를 심는 데 그치지 않고 몽골 정부와 국민에게 한국의 녹화 성공 사례를 나누고, 사막에서 나무를 심고 자라게 할 수 있다는 ‘녹화 희망’을 심었다는 데 큰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사막화 방지 국제협력의 대표적 모델로 일자리 창출과 환경 개선 등 몽골에 실질적 도움을 준 공적개발원조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어서다. 특히 지역주민과 몽골 정부에 전해준 조림사업과 양묘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
몽골 환경관광부 장관은 최근 “한국은 몽골의 사막화 방지와 토지오염 방지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고 평하기도 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산림청은 2026년까지 803만달러를 투입해 몽골에 한국형 산림관리 모델(K산림복원)을 전수한다고 27일 발표했다. 2007년부터 시작한 몽골 사막화·황사 방지를 위한 그린벨트 조성 계획에 따라 몽골 3000㏊에 숲을 조성한 산림청이 이제 나무심기에 이어 혼농임업, 생태관광 등 주민소득 증대 프로그램을 전수하는 것이다.
한반도 황사 유입의 최대 발원지인 몽골은 국토의 78%에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산업·도시화에 따른 대기오염도 사회문제화하고 있다. 이에 몽골 정부는 사막화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2005~2035년까지 3단계에 걸쳐 그린벨트 조성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산림청은 한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 경험을 전수하고 황사 발원지에 사막화 방지 조림을 추진하기 위해 2007년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을 설립했다. 1단계 사업은 2007~2016년까지 사막화 방지 조림에 초점을 맞췄다. 춥고 건조한 날씨, 방목 가축 피해 등 쉽지 않은 현지 여건을 극복하고 사막화 지역에 3046㏊의 숲을 성공적으로 조성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몽골의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 특성상 조림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의 적극적인 노력과 사업 과정에서 주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사업에 반영해 현지화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2단계 사업은 2017~2021년까지 조림지 이관 및 도시숲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5년간 추진한 도시숲 조성사업을 통해 울란바토르에 도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산림휴양공간으로 ‘한·몽 우호의 숲’(40㏊)을 조성했다. 도시숲에는 방문자 안내센터, 놀이터, 체육시설, 자생수목원, 바닥분수 등을 설치했다. 산림청은 지난 9월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의 ‘10억 그루 나무심기 선언’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산림청은 1·2단계로 추진한 한·몽 양자 산림협력 사업의 성과를 이어받아 내년부터 3단계 산림협력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3단계 한·몽 산림협력 사업은 기존 사막화 방지 조림에서 나아가 산불 등 산림재해관리 협력과 혼농임업 및 생태관광, 민관 협력을 통한 도시숲 조성 등을 추진한다.
우리 녹화 기술로 황량한 사막이 푸른 숲으로 바뀌자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 사업이 단지 나무를 심는 데 그치지 않고 몽골 정부와 국민에게 한국의 녹화 성공 사례를 나누고, 사막에서 나무를 심고 자라게 할 수 있다는 ‘녹화 희망’을 심었다는 데 큰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사막화 방지 국제협력의 대표적 모델로 일자리 창출과 환경 개선 등 몽골에 실질적 도움을 준 공적개발원조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어서다. 특히 지역주민과 몽골 정부에 전해준 조림사업과 양묘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
몽골 환경관광부 장관은 최근 “한국은 몽골의 사막화 방지와 토지오염 방지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고 평하기도 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