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윤영찬TV)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윤영찬TV)
백신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마스크 재고 안내, 초·중·고등학교 원격수업 전환 등 코로나19 이후 ICT 기반 신속한 위기 극복 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ICT 기술의 핵심은 바로 '클라우드' 시스템이다.

클라우드는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의미한다.

이 같은 기술은 기존 서버 구축에 비해 시간과 비용에서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하다. 지난 2018년 평창올림픽 당시 민간 클라우드 기반으로 행사 시스템이 구축돼 자체 구축 및 운용 대비 투자비를 약 54% 절감했고, 6개월이 소요될 시스템을 2개월로 단축해 오픈한 바 있다.

이처럼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 역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민간 클라우드 비중 확대라는 전반적인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는 이뤄졌지만 여전히 세부적인 이행안에 대해선 정부와 민간, 학계 간 이견이 나오고 있다.

● 민간 클라우드 활용도 높여야…'옵트 아웃' 방식 강조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7일 개최한 '공공클라우드 전환 정책,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 정부가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산업 추진 과정에서 민간 클라우드 활용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윤 의원은 "클라우드는 민간에서부터 시작됐고, 민간이 성장시킨, 민간 주도형 성장 산업으로 공공이 주도해서 기술 패권을 가져가기 어려운 영역이다"라며 "클라우드 생태계는 민간 주도로 조성하고, 공공은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1,200여 개 기관, 1만 9개 정보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센터 46%, 공공 클라우드센터 54% 비율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 학계와 관련 기업들은 공공부문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민간 클라우드와 공공 클라우드를 선택하도록 한 점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비용과 보안과 관련된 구체적인 규제 해결 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공 클라우드센터를 확대하게 되면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은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윤대균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민간 클라우드를 권장하면서 공공 클라우드센터를 지정하는 것은 상충되는 행동"이라며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윤 교수는 이 같은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옵트아웃' 방식을 강조했다. 옵트아웃이란 정부가 민간 클라우드를 쓰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명분을 제시해야 하는 의사결정 체제다.

윤 교수는 "다소 과격한 표현일 수 있지만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선 이 정도 수준의 의사결정 체제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대균 아주대학교 교수(사진=윤영찬TV)
윤대균 아주대학교 교수(사진=윤영찬TV)
● "공공 vs 민간 선택 방식은 현장 분위기 반영하지 않은 계획"

업계에선 이번 정책이 현장의 분위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G-클라우드와 민간 클라우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재의 정책은 결국 무게중심이 G-클라우드로 흐를 거란 의미다.

이태석 두드림시스템 대표는 "G-클라우드와 민간 클라우드가 같이 존재하는 정책이 수립되면 결국 G-클라우드가 블랙홀이 될 것이다. G-클라우드로 전부 빨려 들어가고 오히려 대면 서비스 업무 같은 것도 내부 업무라는 포장하고 G-클라우드로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 "수요기업 전반의 클라우드 교육 필요"

공공 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선, 수요기관과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의 전반적인 클라우드 교육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주성 KT 상무는 KT클라우드 기반의 질병관리청의 쿠브(COOV·전자예방접종증명서) 앱 접속 장애 사례를 예로 들었다.

당시 KT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감당 가능한 트래픽 규모를 늘리고 사전 테스트도 진행했지만, 수요 기관들이 구축한 애플리케이션 설계 자체가 클라우드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동되지 못했다.

김 상무는 "클라우드 자체만 확대돼선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소규모 수요기관들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유지·보수까지 함께 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대규모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양현주기자 hjy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