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드 “과기부 2단계 지원 확정…오미크론 백신 개발 가속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개월 내 임상 신청 목표
셀리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2022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단계평가를 통과해 2단계 연구개발 지원이 확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통해 ‘2세대 코로나19 변이 예방백신’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셀리드는 2020년 7월 과기부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1단계 연구개발 목표인 코로나19 예방백신(AdCLD-CoV19) 임상 1·2a상 및 대량 생산을 위해 개선된 백신(AdCLD-CoV19-1) 2b·3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
또 1단계 연구기간 먹는(경구용)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기반의 델타 변이 대응 코로나19 백신 등 5종을 제작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2단계 연구개발 지원(정부출연금 20억원)을 통해서는 오미크론 변이 전용 근육투여용 백신을 개발한다. 3개월 내 임상 신청이 목표다. 장기적으로는 경구용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셀리드 관계자는 “회사가 각 변이체들의 슈도바이러스 19종을 확보하고 있어 신속한 변이 바이러스 백신 연구개발이 가능했다”며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연구개발(R&D) 기반(인프라)을 통해 변이 대응 백신을 더욱 정교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는 “이번 국책과제 통과는 회사가 그동안 수행해온 코로나19 예방백신의 개발 성과와 연구개발 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희 기자
이를 통해 ‘2세대 코로나19 변이 예방백신’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셀리드는 2020년 7월 과기부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1단계 연구개발 목표인 코로나19 예방백신(AdCLD-CoV19) 임상 1·2a상 및 대량 생산을 위해 개선된 백신(AdCLD-CoV19-1) 2b·3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
또 1단계 연구기간 먹는(경구용)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기반의 델타 변이 대응 코로나19 백신 등 5종을 제작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2단계 연구개발 지원(정부출연금 20억원)을 통해서는 오미크론 변이 전용 근육투여용 백신을 개발한다. 3개월 내 임상 신청이 목표다. 장기적으로는 경구용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셀리드 관계자는 “회사가 각 변이체들의 슈도바이러스 19종을 확보하고 있어 신속한 변이 바이러스 백신 연구개발이 가능했다”며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연구개발(R&D) 기반(인프라)을 통해 변이 대응 백신을 더욱 정교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는 “이번 국책과제 통과는 회사가 그동안 수행해온 코로나19 예방백신의 개발 성과와 연구개발 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