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50년까지 플라스틱 100% 바이오 원료로 대체”…순환경제 강화 나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01.28460274.1.jpg)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국형(K) 순환경제 이행계획'을 30일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석유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2030년까지 생활 플라스틱의 20%, 사업장 플라스틱의 15%를 '혼합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할 방침이다. 2050년까지는 생활 플라스틱의 100%, 사업장 플라스틱의 45%를 '순수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게 목표다.
플라스틱 제조업체에 대해선 2023년까지 재생원료 사용 의무를 부과할 계획이다. 특히 플라스틱 페트의 경우 2030년까지 원료의 30% 이상을 재생원료로 사용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정부는 밝혔다.
이날 발표된 'K-순환경제 이행계획'엔 친환경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화장품 리필(소분)매장 활성화 방안도 담겼다. 정부는 소분 매장에 납품되는 표준용기에 대해서는 생산자책임재활용 분담금을 감면해주고, 소분 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에 대해선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탄소중립 실천포인트'를 지급할 예정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