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이용자 10명 중 4명 "집값 하락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직방 이용자 10명 중 4명 "집값 하락할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B20211122102005977.jpg)
이런 결과는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40대 이상은 ‘하락’ 전망 비율이 더 높았던 반면, 30대 이하는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응답비율이 더 높았다.
▲유주택자 "상승한다", 무주택자 "하락한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유주택자가 2022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무주택자는 ‘하락’ 전망 의견이 더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 지방선거 공약(6.1%)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차주단위 DSR 2,3단계가 본격 시행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상을 연이어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도 예고되고 있다.
반면, 2022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상승 응답자 479명 중, 22.5%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8.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14.2%) △대선, 지방선거 공약(11.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이유로 30~40대는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각각 23.1%, 27.9%로 선택한 반면, 20대 이하는 ‘대선, 지방선거 공약’(21.7%)을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50대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22.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서울, 경기, 지방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선택한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인천은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와 ‘대선, 지방선거 공약’을 많이 선택했다. 지방5대광역시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 선택 비율이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상승 전망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경기(47.8%) > 인천(46.7%) > 서울(45.8%), 지방(45.8%) > 지방5대광역시(41.3%) 순으로 상승 응답 비율이 높았다.
▲전셋값 상승에 무게…매물 부족 응답이 1위
전세가격 상승 이유로는 ‘전세공급(매물) 부족’(37.3%)이 가장 많았고, △매매가격 상승 부담으로 인한 전세 전환 수요 증가(22.0%)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매물이 출시되면서 임대료가 인상될 우려(17.9%) 등 순으로 응답됐다. 상승 전망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전세 매물 부족과 매매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로 2022년에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2년 주택 월세가격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1.4%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하락’ 응답은 18.9%, ‘보합’은 29.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에서 월세가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64.3%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승 전망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월세가격 상승 응답 비율이 높았다. 경기(56.8%) > 서울(51.3%) > 인천(48.6%) > 지방5대광역시(46.3%) > 지방(46.2%) 순으로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이 많았다.
2022년 주택 월세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636명 중,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35.7%가 ‘매매, 전세상승 부담으로 월세 전환 수요 증가’해서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전세 대출규제로 인한 월세 전환 수요 증가(23.1%) △보유세, 종부세 부담으로 인한 세부담 전가(16.5%) △월세 공급(매물) 부족(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원규기자 w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