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저축은행 신용대출 상품에서 신용도가 좋은 사람에게 더 높은 금리가 책정되는 ‘대출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는 신용점수 외에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금리를 매기는 과정에서 이런 현상이 일부 나타나는 것일 뿐, ‘고신용자 역차별’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 고신용자를 겨냥한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가 이런 ‘시장 왜곡’을 부추긴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고신용자 대출금리가 더 높아

3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은 신용점수가 900점(나이스신용정보 기준)을 넘는 차주에게 지난해 11월 한 달간 ‘비상금대출’을 연평균 14.35% 금리에 내줬다. 반면 신용점수가 801~900점인 차주의 평균 금리는 연 13.63%로 집계돼 900점 초과 차주보다 0.72%포인트 낮았다. 신용점수 800점 이하 구간에선 금리 체계가 ‘정상화’됐다. 신용점수 701~800점 차주와 601~700점 차주의 평균은 각각 연 14.79%와 15.70%였다.

OK저축은행의 ‘마이너스OK론’ 평균 금리는 신용점수 900점대 차주가 연 19.55%, 800점대 차주는 연 19.3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상품은 900점대 신용점수 보유자의 금리가 전 구간 중 가장 높았다. 신용점수 401~500점 차주도 연평균 19.11%의 금리를 무는 것으로 공시됐다. 웰컴저축은행의 ‘웰컴뱅크론’, 페퍼저축은행의 ‘페퍼신용대출’, 한국투자저축은행의 ‘살만한직장인대출’ 등에서도 이 같은 금리 역전이 나타났다.

업계에선 신용평가사(CB)에서 제공하는 신용점수가 높은 사람이 반드시 ‘우량 차주’를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을 찾는 고신용자는 1금융권에서 대출 한도를 이미 채운 다중채무자인 경우가 많다”며 “이들은 중신용자에 비해 대손 위험성이 높을 수 있다”고 했다. 최근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2금융권으로 넘어오는 ‘고신용 다중채무자’가 많아지면서 발생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점수는 하나의 참고 지표일 뿐 실제론 다양한 요소를 감안해 대출 심사를 한다”며 “가령 A씨가 이달 회사를 그만뒀다는 점은 금리를 높게 받을 요소지만 신용점수에 바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도 “신용점수가 900점을 넘는 사람이 1금융권 대출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바로 저축은행을 찾아와 ‘의심 거래’라 생각돼 대출을 거절한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고신용자 역차별?

이외에 고신용자가 금융사에서 환대받지 못하는 사례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작년 말 시중은행이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우대금리를 줄이는 등의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높이자, 1금융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금융권인 상호금융권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 대표적이다.

고신용자의 대출 문턱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고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을 중단했던 카카오뱅크는 올해도 당분간 이 기조를 이어가기로 했다. 카뱅은 내년 말까지 전체 신용대출 가운데 중신용 대출 비중을 25%까지 올려야 하는데 이를 맞추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기존엔 의사와 변호사 등 전문직에게 연 소득의 두 배까지 대출해 주던 은행이 올해부터 연 소득 이내로 한도를 묶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