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자 이중철책 넘는데 4분도 안걸려…군, 6분뒤 도착 "이상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년여전 '점프귀순' 동일지역…엉뚱한 CCTV 돌려보고 철책에 걸린 패딩 깃털도 못봐
남북 모두 '경계 실패'…군 "북측 식별 4명과 월북자 접촉 없었던듯" 1년여 전 귀순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월북한 탈북민이 이번에도 최전방 철책을 수월하게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연합뉴스 취재 결과 군 당국은 지난 1일 강원도 동부전선의 육로를 통해 북으로 간 탈북민 A(29) 씨가 이중으로 된 22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넘는 데 4분이 채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당 2분씩 걸린 셈인데, 군이 GOP(일반전초) 감시카메라 3대에 찍힌 시간대 등을 토대로 종합 분석한 결과다.
GOP 철책은 광망(철조망 센서) 등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설치된 남쪽 철책과 이런 설비가 설치돼 있지 않은 북쪽 철책 등 이중으로 돼 있다.
남쪽 철책은 광섬유 소재로 된 그물망 형태 철조망을 덧댄 형태로, 높이가 3m 정도다.
대형 그물망 중간중간에는 철조망을 지탱하기 위한 알파벳 와이(Y)자 형태 브라켓이 철책 기둥 위로 설치돼 있고, Y자 브라켓 중 일부에는 '상단 감지 브라켓'이 설치돼 있다.
또 Y 브라켓 맨 끝부분마다 작은 직사각형 형태의 '상단 감지 유발기'가 달려있다.
이 때문에 철책을 절단할 때는 물론, 오르기 위해 하중을 싣게 되면 광망 경보가 울리도록 설계돼 있다.
합참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비태세검열 결과를 설명하면서 "망형태의 판망(철조망)을 잡고 기어 올라가는 순간 광망을 당겨 '절곡' 알람이 울렸던 것이고, 이후 브라켓을 잡고 철조망을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체중 50여kg에 신장이 작은 편으로 알려진 A씨는 2020년 11월 귀순 당시에도 동일 지역의 이중철책을 넘었다.
이번에 월책한 지역은 귀순 지점과는 약 10km 정도 떨어져 있긴 하지만, 철책 형태 등이 같기 때문에 1년여 전 경험을 살려 '단숨에' 이중철책을 넘을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A씨가 귀순할 때 광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감시체계의 허점을 보였던 군은, 이번에는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고도 그를 놓쳤다.
A씨가 오후 6시 36분께 철책을 넘을 당시 경고등과 경고음이 울렸고, 소대장 등 6명의 초동조치조는 6분 만에 현장에 출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미 A씨가 이중철책을 넘고 몸을 숨긴 뒤다.
초동조치조는 현장을 확인한 뒤 "이상이 없다"고 대대지통실에 보고한 뒤 철수했다.
나중에 확인 결과 북쪽 철책을 넘어간 자리에 쌓인 눈에 발자국이 확인됐다.
철책에 긁혔다면 남을 수 있는 혈흔 등은 포착되지 않았고, 월책 당시 입고 있던 패딩에서 빠진 것으로 보이는 '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패딩 충전재(깃털)는 있었지만 낮에 살펴봐도 알아채지 못할 정도였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통상 광망 경보가 울린 뒤에는 현장에 특별한 점이 없더라도 복기를 통해 상황 평가를 하게 돼 있지만, 사후 복기도 엉터리로 이뤄졌다.
A씨의 월책 장면은 GOP 감시카메라 3대에 총 5회 포착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감시병이 당시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을 넘어 복기 과정에서도 해당 부대는 월책 발생 시간이 아닌 엉뚱한 시간대의 CCTV를 돌려본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 저장 장비가 녹화시간 입력 시 실제 시간과 4분 정도 오차가 있어 매일 두 차례씩 '동기화' 작업을 해야 하는데, 관련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이런 일련의 상황은 대대장에게도 보고되지 않고 해당 대대 지휘통제실에서 자체 종결됐다.
합참 관계자는 "대대지통실장이 (상급부대와 대대장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는데, 보고 하지 않았다"며 지침 위반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해당 부대 대대장이 '특이상황 발생'을 인지한 건 약 3시간이 지나서다.
해당 부대는 군 열상감시장비(TOD)를 통해 오후 9시 17분께 비무장지대(DMZ) 내를 배회하는 A씨가 포착되면서 뒤늦게 신병확보 작전에 돌입했다.
합참에는 14분 만에 보고됐다.
그러나 이미 앞선 광망 경보 상황 자체에 대한 보고가 누락된 탓에 한때 '귀순'으로 오판하기도 했다.
합참 관계자는 "대대장이 오후 6시 때 발생한 광망 절곡 상황을 모르는 상태였다"며 "지형과 이동 방향을 분석했을 때 (초기에) 귀순 가능성을 판단했으나, 무게 중심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든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군이 우왕좌왕하는 사이 A씨는 철책을 넘은 지 약 4시간 만인 오후 10시 49분께 군사분계선(MDL) 북측 지역에서 최종 포착됐다.
이번 월북 사건으로 남측뿐 아니라 북한군도 사실상 경계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2일 0시 43분께 (MDL 북측에서) 서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상 인원 4명의 모습이 열상감시장비에 관측됐고, 동일 지점에 동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월북자가 재식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시영상 분석 결과 동일 지점에서 포착된 시간 간격과 이동 방향을 고려할 때 미상인원 4명과 월북자 간은 접촉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남북 모두 '경계 실패'…군 "북측 식별 4명과 월북자 접촉 없었던듯" 1년여 전 귀순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월북한 탈북민이 이번에도 최전방 철책을 수월하게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연합뉴스 취재 결과 군 당국은 지난 1일 강원도 동부전선의 육로를 통해 북으로 간 탈북민 A(29) 씨가 이중으로 된 22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넘는 데 4분이 채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당 2분씩 걸린 셈인데, 군이 GOP(일반전초) 감시카메라 3대에 찍힌 시간대 등을 토대로 종합 분석한 결과다.
GOP 철책은 광망(철조망 센서) 등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설치된 남쪽 철책과 이런 설비가 설치돼 있지 않은 북쪽 철책 등 이중으로 돼 있다.
남쪽 철책은 광섬유 소재로 된 그물망 형태 철조망을 덧댄 형태로, 높이가 3m 정도다.
대형 그물망 중간중간에는 철조망을 지탱하기 위한 알파벳 와이(Y)자 형태 브라켓이 철책 기둥 위로 설치돼 있고, Y자 브라켓 중 일부에는 '상단 감지 브라켓'이 설치돼 있다.
또 Y 브라켓 맨 끝부분마다 작은 직사각형 형태의 '상단 감지 유발기'가 달려있다.
이 때문에 철책을 절단할 때는 물론, 오르기 위해 하중을 싣게 되면 광망 경보가 울리도록 설계돼 있다.
합참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비태세검열 결과를 설명하면서 "망형태의 판망(철조망)을 잡고 기어 올라가는 순간 광망을 당겨 '절곡' 알람이 울렸던 것이고, 이후 브라켓을 잡고 철조망을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체중 50여kg에 신장이 작은 편으로 알려진 A씨는 2020년 11월 귀순 당시에도 동일 지역의 이중철책을 넘었다.
이번에 월책한 지역은 귀순 지점과는 약 10km 정도 떨어져 있긴 하지만, 철책 형태 등이 같기 때문에 1년여 전 경험을 살려 '단숨에' 이중철책을 넘을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A씨가 귀순할 때 광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감시체계의 허점을 보였던 군은, 이번에는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고도 그를 놓쳤다.
A씨가 오후 6시 36분께 철책을 넘을 당시 경고등과 경고음이 울렸고, 소대장 등 6명의 초동조치조는 6분 만에 현장에 출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미 A씨가 이중철책을 넘고 몸을 숨긴 뒤다.
초동조치조는 현장을 확인한 뒤 "이상이 없다"고 대대지통실에 보고한 뒤 철수했다.
나중에 확인 결과 북쪽 철책을 넘어간 자리에 쌓인 눈에 발자국이 확인됐다.
철책에 긁혔다면 남을 수 있는 혈흔 등은 포착되지 않았고, 월책 당시 입고 있던 패딩에서 빠진 것으로 보이는 '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패딩 충전재(깃털)는 있었지만 낮에 살펴봐도 알아채지 못할 정도였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통상 광망 경보가 울린 뒤에는 현장에 특별한 점이 없더라도 복기를 통해 상황 평가를 하게 돼 있지만, 사후 복기도 엉터리로 이뤄졌다.
A씨의 월책 장면은 GOP 감시카메라 3대에 총 5회 포착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감시병이 당시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을 넘어 복기 과정에서도 해당 부대는 월책 발생 시간이 아닌 엉뚱한 시간대의 CCTV를 돌려본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 저장 장비가 녹화시간 입력 시 실제 시간과 4분 정도 오차가 있어 매일 두 차례씩 '동기화' 작업을 해야 하는데, 관련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이런 일련의 상황은 대대장에게도 보고되지 않고 해당 대대 지휘통제실에서 자체 종결됐다.
합참 관계자는 "대대지통실장이 (상급부대와 대대장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는데, 보고 하지 않았다"며 지침 위반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해당 부대 대대장이 '특이상황 발생'을 인지한 건 약 3시간이 지나서다.
해당 부대는 군 열상감시장비(TOD)를 통해 오후 9시 17분께 비무장지대(DMZ) 내를 배회하는 A씨가 포착되면서 뒤늦게 신병확보 작전에 돌입했다.
합참에는 14분 만에 보고됐다.
그러나 이미 앞선 광망 경보 상황 자체에 대한 보고가 누락된 탓에 한때 '귀순'으로 오판하기도 했다.
합참 관계자는 "대대장이 오후 6시 때 발생한 광망 절곡 상황을 모르는 상태였다"며 "지형과 이동 방향을 분석했을 때 (초기에) 귀순 가능성을 판단했으나, 무게 중심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든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군이 우왕좌왕하는 사이 A씨는 철책을 넘은 지 약 4시간 만인 오후 10시 49분께 군사분계선(MDL) 북측 지역에서 최종 포착됐다.
이번 월북 사건으로 남측뿐 아니라 북한군도 사실상 경계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2일 0시 43분께 (MDL 북측에서) 서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상 인원 4명의 모습이 열상감시장비에 관측됐고, 동일 지점에 동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월북자가 재식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시영상 분석 결과 동일 지점에서 포착된 시간 간격과 이동 방향을 고려할 때 미상인원 4명과 월북자 간은 접촉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