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투자'? '스톡데일 패러독스'! [여기는 논설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막연한 희망보다 냉철한 현실 인식
부자들 공통점은 '합리적 낙관주의'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대하라"
대전환기 맞닥뜨린 올해 더욱 절실
부자들 공통점은 '합리적 낙관주의'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대하라"
대전환기 맞닥뜨린 올해 더욱 절실
돈 잘 버는 사람들은 뭔가 다르다. 워런 버핏이 애플 투자로 1240억달러(148조원)를 번 것만 봐도 그렇다. 버핏이 360억달러를 주고 사들인 애플 지분 평가액은 6년 새 1600억달러로 불어났다. 애플 시가총액 3조달러 돌파의 최대 수혜자가 됐다.
그는 애플의 지분을 사들이면서 “우리 회사의 투자 중 과거 철도와 보험에 이어 세 번째로 가장 큰 비즈니스가 애플”이라고 말했다. 특히 애플이 ‘밀착 제품(sticky product·고객정착률이 높은 제품)’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막연한 기대와 희망으로 주식을 사는 게 아니라 현실을 냉정히 분석하고 구체적인 투자 포인트를 잡아 실행에 나선 것이다.
유럽의 전설적인 투자자 앙드레 코스톨라니도 투자에서 현실을 직시하고 숙고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라고 말했다. 그가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대하라>는 책에서 강조한 투자의 3대 덕목은 ‘절대 빚내서 투자하지 말고,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자기 결정을 믿고 지킬 수 있는 인내심을 가져라’다.
그러면서 “자기 돈을 가지고 우량주에 투자하라. 그리고 수면제를 먹고 한 몇 년간 푹 자라”고 강조했다. 그래서 그의 책 원제가 <돈에 대해 생각하는 기술(Die Kunst ueber Geld nachzudenken)>이었다. 이는 투자 경험이 많은 사람은 물론이고 초보 투자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다.
이런 투자 지침과 맞아떨어지는 심리학 용어가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는 비관적인 현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이면서 현재의 난관을 극복하고 장래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합리적 낙관주의를 일컫는다.
낭만적인 낙관주의가 현실 문제를 간과하고 무조건 희망에 기대는 것이라면 ‘스톡데일 패러독스’는 현실을 냉철하게 보는 비관론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긍정적인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이 용어의 주인공인 미국 해군장교 제임스 스톡데일은 베트남전쟁 때 8년간 포로생활을 하며 온갖 위기를 넘긴 뒤 살아 돌아왔다. 다른 동료들은 ‘이번 크리스마스엔 풀려나겠지, 다음 부활절이나 추수감사절엔 풀려나겠지’라는 막연한 기대를 품었다가 꿈이 좌절될 때마다 희망을 잃고 죽어갔다.
스톡데일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Good to Great)> 저자인 짐 콜린스와의 인터뷰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되 현재 직면한 문제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얘기했다. 이는 경영과 투자의 세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는 귀국 후 영웅으로 존경을 받으면서 해군 중장으로 예편했다. 1992년 대선에서는 로스 페로의 러닝메이트로 영입됐다. 엉겁결에 정치 무대에 선 그는 부통령 후보들의 TV토론에 나가게 됐다. 초반 연설에서는 “나는 누구지? 왜 여기 있지?”라는 말로 박수갈채를 받았다.
그러나 토론 과정에서 아무런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게 드러나 큰 망신을 당하고 말았다. 부통령 후보라는 자리를 너무나 쉽게 생각한 그가 ‘스톡데일 패러독스’의 함정에 스스로 빠진 것이었다.
이처럼 투자를 할 때에는 자기가 잘 아는 분야를 택하는 게 중요하다. 여기에 균형 잡힌 시각을 갖고 세밀하게 분석하는 자세까지 겸비한다면 일단 훌륭한 투자자의 자격을 갖춘 셈이다. 이런 사람은 감염병으로 무기력해진 세상에서도 얼마든지 성공의 문을 열 수 있다. 요즘 같은 널뛰기 장세에서는 합리적 낙관주의, ‘스톡데일 패러독스’의 교훈을 더욱 되새겨 볼 일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스톡데일 생존 비결-합리적 낙관주의
버핏은 한동안 비싼 기술주 투자를 꺼렸다. 전통적인 성장주 중심의 투자 성향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대 변화를 읽는 그의 눈은 남달랐다. 그 덕분에 오랜 관행을 버리고 투자 대리인의 도움을 받아 방향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그는 애플의 지분을 사들이면서 “우리 회사의 투자 중 과거 철도와 보험에 이어 세 번째로 가장 큰 비즈니스가 애플”이라고 말했다. 특히 애플이 ‘밀착 제품(sticky product·고객정착률이 높은 제품)’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막연한 기대와 희망으로 주식을 사는 게 아니라 현실을 냉정히 분석하고 구체적인 투자 포인트를 잡아 실행에 나선 것이다.
유럽의 전설적인 투자자 앙드레 코스톨라니도 투자에서 현실을 직시하고 숙고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라고 말했다. 그가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대하라>는 책에서 강조한 투자의 3대 덕목은 ‘절대 빚내서 투자하지 말고,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자기 결정을 믿고 지킬 수 있는 인내심을 가져라’다.
그러면서 “자기 돈을 가지고 우량주에 투자하라. 그리고 수면제를 먹고 한 몇 년간 푹 자라”고 강조했다. 그래서 그의 책 원제가 <돈에 대해 생각하는 기술(Die Kunst ueber Geld nachzudenken)>이었다. 이는 투자 경험이 많은 사람은 물론이고 초보 투자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다.
이런 투자 지침과 맞아떨어지는 심리학 용어가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는 비관적인 현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이면서 현재의 난관을 극복하고 장래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합리적 낙관주의를 일컫는다.
낭만적인 낙관주의가 현실 문제를 간과하고 무조건 희망에 기대는 것이라면 ‘스톡데일 패러독스’는 현실을 냉철하게 보는 비관론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긍정적인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이 용어의 주인공인 미국 해군장교 제임스 스톡데일은 베트남전쟁 때 8년간 포로생활을 하며 온갖 위기를 넘긴 뒤 살아 돌아왔다. 다른 동료들은 ‘이번 크리스마스엔 풀려나겠지, 다음 부활절이나 추수감사절엔 풀려나겠지’라는 막연한 기대를 품었다가 꿈이 좌절될 때마다 희망을 잃고 죽어갔다.
스톡데일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Good to Great)> 저자인 짐 콜린스와의 인터뷰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되 현재 직면한 문제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얘기했다. 이는 경영과 투자의 세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스톡데일의 추락-모르는 분야는 금물
현실을 냉정하게 본다는 것은 현상을 철저하게 파악한다는 얘기다. 투자에서도 자기가 모르는 분야에 뛰어드는 것은 금물이다. 스톡데일의 생환 이후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준다.그는 귀국 후 영웅으로 존경을 받으면서 해군 중장으로 예편했다. 1992년 대선에서는 로스 페로의 러닝메이트로 영입됐다. 엉겁결에 정치 무대에 선 그는 부통령 후보들의 TV토론에 나가게 됐다. 초반 연설에서는 “나는 누구지? 왜 여기 있지?”라는 말로 박수갈채를 받았다.
그러나 토론 과정에서 아무런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게 드러나 큰 망신을 당하고 말았다. 부통령 후보라는 자리를 너무나 쉽게 생각한 그가 ‘스톡데일 패러독스’의 함정에 스스로 빠진 것이었다.
이처럼 투자를 할 때에는 자기가 잘 아는 분야를 택하는 게 중요하다. 여기에 균형 잡힌 시각을 갖고 세밀하게 분석하는 자세까지 겸비한다면 일단 훌륭한 투자자의 자격을 갖춘 셈이다. 이런 사람은 감염병으로 무기력해진 세상에서도 얼마든지 성공의 문을 열 수 있다. 요즘 같은 널뛰기 장세에서는 합리적 낙관주의, ‘스톡데일 패러독스’의 교훈을 더욱 되새겨 볼 일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