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호감도 전년보다 3점·정책 공감도 2.4점 낮아져
부처 호감도 20대 낮고 50대 높아…여성계 "정치권이 젠더갈등 부추겨"

부처 폐지론 등 잇단 논란에…여가부 호감도·정책 공감도 하락(종합)
지난해 정치권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폐지론이 불거지는 등 논란이 잇따르며 여가부에 대한 국민 호감도와 여가부 정책에 대한 공감도가 전년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여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도 여성가족부 주요 정책 인식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여가부는 지난해 11월 17∼22일 여가부와 주요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 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만 16∼59세 남녀 1천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가부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 전반에 대한 공감도는 40점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여가부에 대한 호감도는 43.4점으로 전년(46.4점)보다 3점 하락했으며, 여가부의 인지도는 62.5점으로 전년(62.0점)보다 소폭 하락했다.

여가부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53.3점으로 전년(53.1점)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정책에 대한 공감도는 44.3점으로 전년(46.7점)보다 2.4점 낮아졌다.

호감도와 공감도, 인지도는 1∼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로 점수를 매긴 뒤 100점 만점 평균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이처럼 여가부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 공감도가 낮아진 데는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 등 정치적 사건에 여가부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부처 폐지론 등 잇단 논란에…여가부 호감도·정책 공감도 하락(종합)
또 정치권에서 이른바 '이대남'으로 불리는 20대 남성층의 표심을 잡기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대선 후보들이 페미니즘과 거리를 두는 듯한 행보를 보이면서 젠더 갈등이 심화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선을 앞두고 여가부가 여당의 정책 공약 개발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점 역시 부정적 여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응답자 성별로 볼 때 여가부의 인지도는 남성(64.8점)이 여성(59.1점)보다 높았으나, 호감도는 여성(55.6점)이 남성(31.9점)을 크게 웃돌았다.

또 여가부에 대한 호감도를 연령대별로 보면 20대(36.9점)와 30대(38.9점)가 평균을 밑돌았고, 40대(45.3점)와 50대(50.9점)가 비교적 높았다.

주요 정책별 인지도를 보면 성범죄자 신상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6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생활 균형 촉진(43.8점)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주요 정책별 공감도 역시 성범죄자 신상정보 공개제도가 74.4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아이돌봄 서비스(65.6점),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65.0점) 등 순이었다.

성평등 정책 및 문화 확산에 대한 정책 공감도는 47.9점으로 가장 낮았다.

여가부 정책 중 지난해 정부가 중점 추진해 가장 달라지고 있다고 체감하는 정책을 꼽아달라는 질문(1∼3순위 응답)에 응답자의 35.5%가 아이돌봄 서비스를 꼽았다.

이어 성범죄자 신상정보공개 제도(34.2%), 디지털 성범죄 근절(28.5%) 순이었다.

부처 폐지론 등 잇단 논란에…여가부 호감도·정책 공감도 하락(종합)
또 여가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항목에는 응답자의 38.1%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을 꼽았다.

이어 성폭력 피해자 지원(35.9%), 아이돌봄서비스(30.2%) 등이 뒤를 이었다.

김미애 의원은 "권력형 성범죄 대처에서 여가부가 비겁하고 무능했고, 대선을 앞두고 선거 중립도 의심받고 있다"며 "아무리 좋은 정책도 신뢰가 무너지고 국민 공감이 없다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신뢰 회복을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며 폐지론이 재부상하는 데 대해 여성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권수현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가부가 일부 대처를 잘못한 측면도 있지만, 정부 부처 가운데 그나마 젠더 관점을 최소한이나마 가진 부처"라며 "여가부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 폐지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권 대표는 정치권이 20대 남성에게 소구하기 위해 되레 젠더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권 대표는 "오늘날 20대 남성이 겪는 구직난, 치솟는 집값 문제 등은 결코 여성이 권력을 잡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다"며 "정치권이 마치 여가부를 폐지하면 20대 남성의 삶이 개선될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부추기고 있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