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미국 동부시간 11일 오전 9시 31분입니다. 어제 장 막판 나스닥이 극적으로 상승 마감한 뒤 선물 시장도 상승 움직임을 보였다가 개장을 앞두고 상승분을 반납했습니다. 어제 장세가 데드캣 바운스, 하락 추세장에서 나온 일시적 반등이라는 비관적 시각도 월가에는 있었는데 이번 주 중반 나올 주요 지표 앞두고 증시가 상승보다는 장 초반에는 하락 방향성을 보이는 모습입니다.
다우지수 거래 상위종목 가운데는 인텔이 프리마켓에서 1% 가까이 오른 것이 눈에 띕니다. 나온 뉴스는 인사 관련인데 마이크론 테크놀러지의 최고재무책임자, CFO인 데이드 진스너를 새로운 경영진으로 영입하기로 했고요. 반면 마이크론은 1.5%대 하락세입니다.
나스닥100 편입종목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세계 1위 유전체 분석 기업인 일루미나입니다. 티커종목명은 ILMN이고요, 프리장에서 5% 가까운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베링거인겔하임을 비롯한 여러 파트너십을 발표했고, 지난 4분기 매출이 11억9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했다고 밝힌데다 올해 전망도 시장 예상을 넘는 수준으로 내놓은 것이 투자 심리를 이끌었습니다.
최근에는 금리 문제, 양적 긴축 등 통화정책 문제로 장이 움직이다 보니 특히 기술주들이 동반 하락하거나 동반 상승하거나 하는 흐름이 보였는데, 오늘 장은 그렇지는 않습니다. 데이비드 코스틴 골드만 삭스 미국 주식담당 수석 전략가가 올해 옥석가리기 장이 본격화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시장에 던지기도 했죠. 조금 자세히 살펴보면 지난해 2월까지만 해도 고성장이 기대되지만 현재 수익이 낮은 주식들이 시장에서 기업 가치 대비 16배에 거래됐는데, 현재는 이 배율이 일곱 배 수준으로 낮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시장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시장에서 잘못된 가격책정을 했다"며 "예상 성장률은 높지만 현재 수익이 낮은 회사와 예상 성장률이 높고 수익도 높은 회사와 가치 평가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는 게 코스틴의 분석이었습니다. 고성장 고수익 주들은 살아남겠지만 현재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성장주들이 흔들리고 있고 이런 흐름들이 금리 인상에 따라 더 분명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한 주만 더 앞서 했다면 투자자에게 더 좋지 않았을까요.
오늘 뉴욕증시 주목할만한 다른 부분들도 살펴볼까요, 우선 오늘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인준 청문회가 예정되어 있는데 이 자리에서 시장을 움직일 수 있는 발언이 나올지 살펴볼 부분입니다. 현재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날보다 소폭 하락한 연 1.77%선에서 움직이는데요. 수요일 나올 물가지표죠, 12월 소비자심리지수 CPI를 앞두고 연준의 통화정책과 인플레이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국 2년물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연 0.94%선까지 높아진 것도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유가는 상승세입니다. 서부텍사스산 중질유 WTI 2월물은 전거래일 대비 1.8% 오른 배럴당 79.6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이사회가 974억달러(약 141조원)에 지분을 인수하겠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측 제안을 14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거절했다.오픈AI 이사회 의장 브렛 테일러는 이날 이사회를 대신해 낸 성명에서 "오픈 AI는 매물이 아니다"라면서 "이사회는 경쟁자를 방해하려는 머스크의 최근 시도를 만장일치로 거부했다"고 밝혔다.이어 "오픈AI의 잠재적인 재편은 우리 비영리 단체와 범용인공지능(AGI)이 모든 인류에게 이롭다는 사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10년 전 오픈AI를 공동 설립했다가 이탈, 대립각을 세워온 머스크는 최근 오픈AI의 자산을 매수하기 위해 투자펀드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 현금 매입을 제안했다.머스크는 인수 제안서에서 '오픈AI가 이전처럼 오픈소스와 안전성에 중점을 둔 선한 영향력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올트먼은 일찌감치 이 제안에 거절 의사를 밝혔다. 올트먼은 지난 11일 머스크의 인수 제안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우리를 흔들기 위한 또 다른 계략"이라고 비판했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미국에서 올해를 바꿀 혁명적 산업으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로보택시(로봇 택시)입니다. 테슬라가 올여름 '사이버캡'을 공개하겠다고 밝히면서 관련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졌습니다.이러한 이슈에 가장 자주 거론되는 기업인 우버가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후 자율주행 협력 이슈와 헤지펀드 투자를 동시에 받으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빌 애크먼이 대규모 지분을 매입하면서 주가가 상승 폭을 키웠고, 테슬라와의 파트너십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과연 우버는 로보택시 시대에도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의 왕좌를 차지할 수 있을까요. 우버의 실적, 투자은행 분석, 그리고 미래 전략을 자세히 살펴봅니다.뉴욕=김종학 특파원
엔비디아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자 해당 미국 기술주들의 주가가 급등락했다.14일(현지시간) 엔비디아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사운드하운드의 주식을 전량 처분하고, 중국의 자율주행 업체 위라이드의 주식을 대거 매입했다고 밝혔다.엔비디아의 이번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수혜가 가장 큰 종목은 '위라이드'다. 엔비디아는 SEC에 제출한 서류에서 위라이드의 주식 180만주를 5700만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이 영향으로 위라이드는 이날 뉴욕증시에서 83.46% 폭등한 31.50달러를 기록했다. 위라이드는 2017년 중국 광저우에서 설립된 자율주행 전문기업이다. 현재 최고 수준인 '레벨4'의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엔비디아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AI 업체 '네비우스'도 샀다. 이 회사는 러시아의 검색 거물 기업 '얀덱스'에서 분사한 기업이다.엔비디아가 SEC에 제출한 서류에서 네비우스 주식 120만주를 5600만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히자 주가는 6.69% 급등한 44.49달러를 기록했다.반면 엔비디아가 팔아 급락한 주식들도 있다. 엔비디아가 비중을 절반으로 줄인 영향에 영국계 반도체 설계업체 ARM은 3.21% 급락한 159.54달러로 장을 마쳤다.또 사운드하운드는 전량 처분했다. 그러자 주가는 28.1% 폭락한 10.97달러를 기록했다. 사운드하운드는 지난해 초 엔비디아가 투자했다는 소식으로 연일 급등했었다. 이날 폭락을 감안해도 사운드하운드는 지난 1년간 380% 넘게 폭등했다.아울러 엔비디아는 로봇 개발업체 서브 로보틱스도 모두 처분했다. 주가는 이 여파로 39.57% 밀렸다.한편 지난해 4분기 기준 엔비디아의 투자 규모는 3억5000만달러(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