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일 금리 올린다"…전문가 10인 만장일치 전망 [김익환의 외환·금융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4일 한은 금통위 설문
"기준금리 연 1.00%→ 1.25% 높여"
인플레이션 우려 높고 Fed 인상도 예고
대선 2주 앞둔 2월보다 정치적 부담 적어
"기준금리 연 1.00%→ 1.25% 높여"
인플레이션 우려 높고 Fed 인상도 예고
대선 2주 앞둔 2월보다 정치적 부담 적어
경제·증권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오는 14일 열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인플레이션·가계부채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목적에서다. 오는 3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것도 인상의 근거로 꼽힌다.
이들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수차례 금리인상을 시사한 점을 주목했다. 오는 3월 말 임기를 마치는 이 총재는 지난달 31일 내놓은 2022년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나갈 것”이라며 금리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이달 4일 열린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는 “금융완화 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차입금과 업황 부진에 직면한 일부 가계·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완화 조치는 금리인상을 시사한 발언이다.
한은 조사국장을 역임한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은의 메시지를 해석해 보면 이번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며 "소비자물가 수준이 너무 높은 만큼 이번에 올리고 추가로 인상할 여지도 높다"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를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이 깔려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2%로 3%대로 올라선 이후 11월(3.8%)과 12월(3.7%)에는 3%대 후반으로 올랐다. 오는 4월부터는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도 인상될 예정인 만큼 오름세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금리인상으로 돈줄을 죄면서 물가 상승률을 억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김상훈 KB증권 수석 연구위원은 "수출을 비롯한 한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대 후반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며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코로나19 위기 직전 수준인 연 1.25%로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Fed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 행보도 한은의 금리인상을 재촉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미국이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0%(전년비 기준)로 1982년 6월 직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올 3월에 Fed가 금리인상에 나서 연내 3~4차례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보유한 국채를 팔아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양적 긴축에 나설 계획이다.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한국이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높여 기축통화국인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한은도 금리인상 시점을 늦추지 않고 신호를 준대로 인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대선(3월 9일)을 13일 앞둬 정치적으로 민감한 2월 금통위보다는 1월에 금리를 인상이 유력하지 않으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다음 금통위는 대선을 8영업일 앞둔 오는 2월 24일에 열린다"며 "금리인상 결정을 미루면 정책적 이득보다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답했다.
연내 금리를 2~4차례까지 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연 1.5~2.0%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뜻이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 긴축을 빨리하고 국내 물가 상승률이 3~4%대가 굳어진다면 올해 한은이 금리를 네 차례 인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오는 4월 취임하는 차기 총재가 올해 두번째 금리인상을 주도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금리인상 시사한 이주열
한국경제신문이 13일 경제·증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만장일치로 "한은이 14일에 연 1.0%인 기준금리를 연 1.25%로 인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들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수차례 금리인상을 시사한 점을 주목했다. 오는 3월 말 임기를 마치는 이 총재는 지난달 31일 내놓은 2022년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나갈 것”이라며 금리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이달 4일 열린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는 “금융완화 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차입금과 업황 부진에 직면한 일부 가계·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완화 조치는 금리인상을 시사한 발언이다.
한은 조사국장을 역임한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은의 메시지를 해석해 보면 이번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며 "소비자물가 수준이 너무 높은 만큼 이번에 올리고 추가로 인상할 여지도 높다"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를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이 깔려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2%로 3%대로 올라선 이후 11월(3.8%)과 12월(3.7%)에는 3%대 후반으로 올랐다. 오는 4월부터는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도 인상될 예정인 만큼 오름세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금리인상으로 돈줄을 죄면서 물가 상승률을 억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김상훈 KB증권 수석 연구위원은 "수출을 비롯한 한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대 후반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며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코로나19 위기 직전 수준인 연 1.25%로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Fed에 쫓기는 한은...금리인상 속도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더 끌어내리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산출한 지난해 말 전체 가계대출은 1760조원으로 추정된다. 2020년 말과 비교해 128조원가량 불어난 금액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불어난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불균형 누적을 억제하려는 신호를 한은이 충분히 제공했다"며 이달 금리인상을 전망했다.Fed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 행보도 한은의 금리인상을 재촉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미국이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0%(전년비 기준)로 1982년 6월 직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올 3월에 Fed가 금리인상에 나서 연내 3~4차례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보유한 국채를 팔아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양적 긴축에 나설 계획이다.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한국이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높여 기축통화국인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한은도 금리인상 시점을 늦추지 않고 신호를 준대로 인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대선(3월 9일)을 13일 앞둬 정치적으로 민감한 2월 금통위보다는 1월에 금리를 인상이 유력하지 않으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다음 금통위는 대선을 8영업일 앞둔 오는 2월 24일에 열린다"며 "금리인상 결정을 미루면 정책적 이득보다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답했다.
연내 금리를 2~4차례까지 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연 1.5~2.0%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뜻이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 긴축을 빨리하고 국내 물가 상승률이 3~4%대가 굳어진다면 올해 한은이 금리를 네 차례 인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오는 4월 취임하는 차기 총재가 올해 두번째 금리인상을 주도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