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에 차주들 '덜덜'…이자부담 10조원 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준금리 1.25%…코로나 이전 수준 '복귀'
1인당 연간 이자 부담 45만원 늘었다
추가 인상 가능성도 대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 45만원 늘었다
추가 인상 가능성도 대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4일 기준금리를 연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2개월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이번 금리 인상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가 1.0%로 인상된 후 연속으로 금리가 오른 것이다. 연속 인상은 2007년 7~8월 이후 14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제는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점이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새 0.5%에서 1.25%로 0.75%포인트만 뛰었다.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오르더라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10조원 가까이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의 '가계신용(빚)'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 이중 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1744조7000억원에 달한다. 더불어 같은 달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전체 잔액 가운데 74.9%가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은행 외 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비중도 같다고 가정한다면, 산술적으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마찬가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3조2670억원이나 늘어나게 된다.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간 늘어난 이자만 9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앞서 한은도 작년 9월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기준금리가 각 0.25%포인트, 0.5%포인트 인상되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2020년 말 대비 각각 2조9000억원, 5조8000억원 증가한다고 추산했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도 271만원에서 각각 286만원, 301만원으로 15만원, 30만원씩 늘어난다. 이를 바탕으로 0.75%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45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여기에 추가 인상도 점쳐지고 있다. 최근 미국 중앙은행(Fed)이 조기 긴축을 시사하면서 올해 3회 이상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돼서다. 자금유출, 원화 가치 하락 등 충격을 줄이기 위해선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 국내 기준금리가 1.50~1.7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이번 금리 인상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가 1.0%로 인상된 후 연속으로 금리가 오른 것이다. 연속 인상은 2007년 7~8월 이후 14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제는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점이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새 0.5%에서 1.25%로 0.75%포인트만 뛰었다.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오르더라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10조원 가까이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의 '가계신용(빚)'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 이중 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1744조7000억원에 달한다. 더불어 같은 달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전체 잔액 가운데 74.9%가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은행 외 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비중도 같다고 가정한다면, 산술적으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마찬가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3조2670억원이나 늘어나게 된다.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간 늘어난 이자만 9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앞서 한은도 작년 9월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기준금리가 각 0.25%포인트, 0.5%포인트 인상되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2020년 말 대비 각각 2조9000억원, 5조8000억원 증가한다고 추산했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도 271만원에서 각각 286만원, 301만원으로 15만원, 30만원씩 늘어난다. 이를 바탕으로 0.75%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45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여기에 추가 인상도 점쳐지고 있다. 최근 미국 중앙은행(Fed)이 조기 긴축을 시사하면서 올해 3회 이상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돼서다. 자금유출, 원화 가치 하락 등 충격을 줄이기 위해선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 국내 기준금리가 1.50~1.7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