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국내 LCC 최초 화물기 도입…"UAM 사업도 진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최대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이 올 상반기에 B737 화물기를 도입해 화물사업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국내 LCC가 화물기를 도입하는 건 제주항공이 처음이다. 화물운송 사업을 확대해 여객 수요에 집중됐던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사진)은 창립 17주년(1월 25일)을 하루 앞둔 24일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를 활용해 열린 기념식에서 “올 상반기 B737 화물기를 도입해 화물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여객 운송에 집중됐던 LCC의 수익구조가 코로나19 사태로 한계를 드러났다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로 국제선 여객 수가 급감한 상황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는 화물 사업을 앞세워 선방하고 있지만, 화물기가 없는 LCC는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제주항공은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할 수 있는 여객기도 추가 도입한다. 김 사장은 “내년 B737 맥스 기종을 도입해 더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 중·단거리에서 우위를 점하겠다”고 말했다. 제주항공은 B737-8 맥스를 내년부터 2027년까지 최대 50대 도입할 계획이다. B737-8 맥스는 최대 항속거리가 6570㎞로 인천~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할 수 있다.
작년 2000억원의 유상증자와 함께 정부로부터 1500억원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지원받아 기단 확대 계획은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에 따라 두 항공사가 보유한 일부 슬롯(비행기 이착륙 횟수) 및 운수권이 반납될 것에 대비해 다른 LCC들은 장거리 운항 준비에 나서고 있다.
다만 제주항공은 현 사업모델인 중·단거리 노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사장은 “양대 항공사와 LCC 자회사의 통합을 포함한 국내 항공산업 구조 개편이 논의되고 있다”며 “긴 호흡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유연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사장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UAM(도심항공교통)에도 관심을 나타냈다. 그는 “정부가 2025년 UAM 초기 상용화를 추진 중이어서 당장 현실화될 사업은 아니다”면서도 “UAM 산업 생태계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계 등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 상반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열린 창립 17주년 행사는 ‘격려, 감사, 자신감 회복’을 주제로 메타버스 방식의 비대면 행사로 진행했다. 제주항공의 메타버스 존은 김 사장의 기념사, 우수직원 시상식 및 직원들의 공연영상으로 구성해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제작했다. 실시간 참여 이벤트로 다양한 상품을 준비해 비대면 행사 참여도를 높였다.
강경민 기자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사진)은 창립 17주년(1월 25일)을 하루 앞둔 24일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를 활용해 열린 기념식에서 “올 상반기 B737 화물기를 도입해 화물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여객 운송에 집중됐던 LCC의 수익구조가 코로나19 사태로 한계를 드러났다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로 국제선 여객 수가 급감한 상황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는 화물 사업을 앞세워 선방하고 있지만, 화물기가 없는 LCC는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제주항공은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할 수 있는 여객기도 추가 도입한다. 김 사장은 “내년 B737 맥스 기종을 도입해 더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 중·단거리에서 우위를 점하겠다”고 말했다. 제주항공은 B737-8 맥스를 내년부터 2027년까지 최대 50대 도입할 계획이다. B737-8 맥스는 최대 항속거리가 6570㎞로 인천~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할 수 있다.
작년 2000억원의 유상증자와 함께 정부로부터 1500억원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지원받아 기단 확대 계획은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에 따라 두 항공사가 보유한 일부 슬롯(비행기 이착륙 횟수) 및 운수권이 반납될 것에 대비해 다른 LCC들은 장거리 운항 준비에 나서고 있다.
다만 제주항공은 현 사업모델인 중·단거리 노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사장은 “양대 항공사와 LCC 자회사의 통합을 포함한 국내 항공산업 구조 개편이 논의되고 있다”며 “긴 호흡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유연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사장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UAM(도심항공교통)에도 관심을 나타냈다. 그는 “정부가 2025년 UAM 초기 상용화를 추진 중이어서 당장 현실화될 사업은 아니다”면서도 “UAM 산업 생태계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계 등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 상반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열린 창립 17주년 행사는 ‘격려, 감사, 자신감 회복’을 주제로 메타버스 방식의 비대면 행사로 진행했다. 제주항공의 메타버스 존은 김 사장의 기념사, 우수직원 시상식 및 직원들의 공연영상으로 구성해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제작했다. 실시간 참여 이벤트로 다양한 상품을 준비해 비대면 행사 참여도를 높였다.
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