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효창공원앞역 2500가구 '도심 고밀개발'…11곳 1만가구 공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복합사업' 8차 후보지 선정
주거 선호도 높은 용산·강동구 첫 포함…수원 2곳
전국 76개 구역에 10만가구…목표치 절반 넘어
주거 선호도 높은 용산·강동구 첫 포함…수원 2곳
전국 76개 구역에 10만가구…목표치 절반 넘어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앞역과 강동구 고덕역 인근, 경기 수원 고색역 남측 등 수도권 11곳이 공공 주도 방식을 통해 아파트 단지로 개발된다.
정부는 이들 지역을 도심공공주택복합개발사업(도심복합사업) 8차 후보지로 선정하고 총 1만 가구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용산구, 서초구 등 서울 알짜 지역에서도 공공 주도 개발을 추진하는 곳이 늘고 있다.
서울에서는 총 2483가구 규모로 개발되는 용산구 ‘효창공원앞역 인근’을 비롯해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698가구) △구로구 대림역 인근(1610가구) △강동구 고덕역 인근(400가구) △중랑구 상봉역 인근(512가구) △관악구 봉천역 서측(287가구)·봉천역 동측(305가구) △강북구 번동중 인근(293가구) △광진구 중곡역 인근(582가구) 등이 포함됐다.
서울의 경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후보지가 외곽에 집중돼 있었다. 이번엔 용산구, 강동구 등에서 처음으로 후보지가 선정되는 등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공공 주도 개발을 추진하려는 곳이 등장했다. 경기권에선 수원 고색역 인근(2294가구)과 옛 권선131-1구역(695가구) 두 곳이 도심복합 사업을 추진한다. 후보지 11곳 가운데 공급 가구 규모가 가장 많은 ‘효창공원앞역 인근’은 2013년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사업이 멈춰서 있었다. 2016년 역세권사업 등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정부는 더블역세권(6호선, 경의중앙선)이라는 입지적 특성을 살린 고밀 개발을 통해 이 구역을 업무·상업·주거가 어우러지는 거점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수원 ‘고색역 인근’은 2017년 정비구역해제 후 고도제한구역 등으로 인해 사업성 확보가 어려워 개발이 정체된 지역이다. 도심복합사업으로 주택을 공급하고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등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지난해 ‘2·4 대책’에서 도입된 도심복합사업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 기관이 주도해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준공업지역 등 도심 내 노후 지역을 고밀 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토지주는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등 각종 규제 완화 혜택을 받는다.
후보지 가운데 본지구로 지정돼 사업이 본격화되는 곳도 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서울 은평구 증산4·연신내역, 도봉구 쌍문역동측·쌍문역서측·방학역, 영등포구 신길2, 경기 부천원미 7곳을 본지구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에선 연말께 총 4000가구가 사전청약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사업성 등 문제로 장기간 방치된 노후 지역을 공공이 주도해 신속하게 정비할 수 있다는 게 이 사업의 강점”이라며 “후보지 지정 이후 3년이 채 되기 전에 본청약이 시작되는 곳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구 지정을 완료한 7개 구역은 민간 재개발사업보다 약 30% 이상 분담금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담금 등 부담 여력이 부족한 토지주에게는 분양가의 50%(시세 25~35% 수준)만 부담해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이익공유형주택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빠른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공공에 대한 거부감이 컸던 강남권에서도 추진 단지가 나오고 있다. 서초구 양재2동 1·2구역과 대청마을, 개포4동 4구역 등 4곳이 도심복합사업을 위해 후보지 신청을 했거나 토지주 의견을 모으고 있다. 조만간 강남권에서도 1호 사업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정부는 이들 지역을 도심공공주택복합개발사업(도심복합사업) 8차 후보지로 선정하고 총 1만 가구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용산구, 서초구 등 서울 알짜 지역에서도 공공 주도 개발을 추진하는 곳이 늘고 있다.
도심복합사업 11곳 추가 선정
8차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는 서울 9곳, 경기 2곳 등 총 11곳이다. 유형별로는 고밀 개발이 가능한 역세권이 8곳, 저층 주거지 3곳이 각각 선정됐다.서울에서는 총 2483가구 규모로 개발되는 용산구 ‘효창공원앞역 인근’을 비롯해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698가구) △구로구 대림역 인근(1610가구) △강동구 고덕역 인근(400가구) △중랑구 상봉역 인근(512가구) △관악구 봉천역 서측(287가구)·봉천역 동측(305가구) △강북구 번동중 인근(293가구) △광진구 중곡역 인근(582가구) 등이 포함됐다.
서울의 경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후보지가 외곽에 집중돼 있었다. 이번엔 용산구, 강동구 등에서 처음으로 후보지가 선정되는 등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공공 주도 개발을 추진하려는 곳이 등장했다. 경기권에선 수원 고색역 인근(2294가구)과 옛 권선131-1구역(695가구) 두 곳이 도심복합 사업을 추진한다. 후보지 11곳 가운데 공급 가구 규모가 가장 많은 ‘효창공원앞역 인근’은 2013년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사업이 멈춰서 있었다. 2016년 역세권사업 등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정부는 더블역세권(6호선, 경의중앙선)이라는 입지적 특성을 살린 고밀 개발을 통해 이 구역을 업무·상업·주거가 어우러지는 거점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수원 ‘고색역 인근’은 2017년 정비구역해제 후 고도제한구역 등으로 인해 사업성 확보가 어려워 개발이 정체된 지역이다. 도심복합사업으로 주택을 공급하고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등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지난해 ‘2·4 대책’에서 도입된 도심복합사업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 기관이 주도해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준공업지역 등 도심 내 노후 지역을 고밀 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토지주는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등 각종 규제 완화 혜택을 받는다.
강남에서도 사업 추진 늘어
이번 발표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는 76곳, 예상 공급 규모는 약 10만 가구로 늘었다. 공급 목표치인 19만6000가구의 절반을 넘어섰다. 10만 가구 가운데 절반 이상인 5만5000여 가구는 서울에서 공급된다.후보지 가운데 본지구로 지정돼 사업이 본격화되는 곳도 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서울 은평구 증산4·연신내역, 도봉구 쌍문역동측·쌍문역서측·방학역, 영등포구 신길2, 경기 부천원미 7곳을 본지구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에선 연말께 총 4000가구가 사전청약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사업성 등 문제로 장기간 방치된 노후 지역을 공공이 주도해 신속하게 정비할 수 있다는 게 이 사업의 강점”이라며 “후보지 지정 이후 3년이 채 되기 전에 본청약이 시작되는 곳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구 지정을 완료한 7개 구역은 민간 재개발사업보다 약 30% 이상 분담금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담금 등 부담 여력이 부족한 토지주에게는 분양가의 50%(시세 25~35% 수준)만 부담해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이익공유형주택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빠른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공공에 대한 거부감이 컸던 강남권에서도 추진 단지가 나오고 있다. 서초구 양재2동 1·2구역과 대청마을, 개포4동 4구역 등 4곳이 도심복합사업을 위해 후보지 신청을 했거나 토지주 의견을 모으고 있다. 조만간 강남권에서도 1호 사업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