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복당' 진중권 "윤석열 발뺌 말라…국민, '4자 토론'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진중권 "법원 판결 따라 4자 TV토론해야"
"토론 한번 하자는데 뭐 붙이는 게 많다"
野, 與 향해 "31일 양자토론만 받겠다"
"토론 한번 하자는데 뭐 붙이는 게 많다"
野, 與 향해 "31일 양자토론만 받겠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측이 '4자 토론'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양자토론부터 시행해야 한다고 밝힌 것을 두고 "무슨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 이런 식의 발뺌을 하는가"라며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지난 27일 CBS 라디오 '한판승부'에서 "토론 한번 하자는데 뭐 붙이는 게 많다. 이미 TV토론을 하기로 했는데 무슨 양자 토론을 하자고 하느냐"며 "모든 국민은 법원의 판결이 났을 때 4자 토론을 하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도대체 무슨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 이런 식의 발뺌을 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원에서 판결이 난 것은 이미 (오는 31일에) TV토론이 잡혀 있었고, 그 부분을 윤 후보와 이 후보 둘이 하는 게 부당하다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TV토론을 4자가 함께 하는 게 합리적인 해결책인데 또 TV토론을 안 하고 따로 하자고 하면 국민은 뭐가 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국민은 방송 3사가 중계하는 대선 토론을 기대했다"며 "양자 토론은 두 후보가 알아서 같이 하면 되는 것 아니냐. 토론 한번 하는데 되게 힘들다. 정말 뭐하자는 것이냐"라고 꼬집었다. 앞서 민주당은 오는 31일로 예정된 이 후보와 윤 후보의 양자토론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와 함께 같은 날 진행할 예정인 4자 TV토론의 참석도 예고하며 "윤 후보만 입장을 밝히면 된다"고 나섰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은 4자 토론을 끌어들여 양자토론을 회피하지 말라"며 "31일 양자토론과 다자토론을 같이 하자는 것은 각 당 후보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며 토론을 안 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의 제안을 거절했다.
이어 "오늘 박주민 민주당 방송토론콘텐츠 단장에게 양자토론 실무협상을 위해 만날 것을 제안한다"며 "국민 여러분은 양자 토론이 열리면 많은 방송사와 유투버 등의 실황중계를 통해 시청할 수 있으며 더 많은 매체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토론을 접하실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bigzero@hankyung.com
진 전 교수는 지난 27일 CBS 라디오 '한판승부'에서 "토론 한번 하자는데 뭐 붙이는 게 많다. 이미 TV토론을 하기로 했는데 무슨 양자 토론을 하자고 하느냐"며 "모든 국민은 법원의 판결이 났을 때 4자 토론을 하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도대체 무슨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 이런 식의 발뺌을 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원에서 판결이 난 것은 이미 (오는 31일에) TV토론이 잡혀 있었고, 그 부분을 윤 후보와 이 후보 둘이 하는 게 부당하다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TV토론을 4자가 함께 하는 게 합리적인 해결책인데 또 TV토론을 안 하고 따로 하자고 하면 국민은 뭐가 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국민은 방송 3사가 중계하는 대선 토론을 기대했다"며 "양자 토론은 두 후보가 알아서 같이 하면 되는 것 아니냐. 토론 한번 하는데 되게 힘들다. 정말 뭐하자는 것이냐"라고 꼬집었다. 앞서 민주당은 오는 31일로 예정된 이 후보와 윤 후보의 양자토론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와 함께 같은 날 진행할 예정인 4자 TV토론의 참석도 예고하며 "윤 후보만 입장을 밝히면 된다"고 나섰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은 4자 토론을 끌어들여 양자토론을 회피하지 말라"며 "31일 양자토론과 다자토론을 같이 하자는 것은 각 당 후보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며 토론을 안 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의 제안을 거절했다.
이어 "오늘 박주민 민주당 방송토론콘텐츠 단장에게 양자토론 실무협상을 위해 만날 것을 제안한다"며 "국민 여러분은 양자 토론이 열리면 많은 방송사와 유투버 등의 실황중계를 통해 시청할 수 있으며 더 많은 매체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토론을 접하실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bigze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