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주요 대학 15곳 중 10곳이 2022학년도 ‘학생 자치’를 이끌 총학생회를 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관심이 떨어지면서 출마자가 아무도 없거나, 투표율이 일정 수준에 이르지 못해 선거가 무산됐기 때문이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 주요 15개 대학 중 서울대·연세대·서강대·중앙대·서울시립대·건국대·동국대·홍익대·이화여대·국민대 10개 대학은 다음 총학생회를 구성하지 못했다. 이들 대학에서는 총학생회 대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나 단과대 학생회장 연석회의 등이 임시로 학생 대표기구 역할을 맡고 있다. 지방 주요 대학 중 부산대도 1968년 총학생회 출범 이후 처음으로 출마 후보가 없어 비대위 체제로 운영 중이다.

총학생회가 공석 상태가 된 가장 큰 이유는 취업난 등으로 학생 자치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축제 등 총학생회가 주최하던 행사가 줄어들면서 학생들이 총학생회의 성과를 확인할 기회도 줄었다.

일부 대학에서는 총학생회장 후보조차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출마하려면 일정 기준 이상 재적생으로부터 동의 서명을 받아야 하지만 이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규상 고려대 총학생회장은 “취업난 때문에 저마다 학점, 스펙 관리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에서 학생 공동체에 대한 관심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며 “학교가 주로 비대면으로 운영되다 보니 학생회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증명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총학이 학습 환경·학생 복지 개선 등 ‘실리 추구’를 통해 학생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윤인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과거 세대와 다르게 지금 20대는 민주화 운동 같은 ‘집단경험’을 풍부하게 공유하지 못했다”며 “정치적 목적으로 학생들을 동원하는 총학생회에 반감을 느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