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있는 日 지자체 역사책에도 '조선인 강제연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초·광역지자체 역사책에 기술
도쿄신문 "역사 일부 외면한 추천으론 국제사회 이해 얻을 수 없어" "(일본) 정부는 (태평양) 전쟁 중 조선인 강제 노동의 역사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
시이 가즈오(志位和夫) 일본공산당 위원장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사도(佐渡)광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한다고 밝힌 다음 날인 지난달 29일 발표한 담화에서 이같이 주문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시이 위원장은 사도광산이 있는 기초자치단체인 옛 아이카와초(相川町·현 사도시)가 지난 1995년 발간한 '사도 아이카와의 역사·통사편'에 "사도광산의 이상한 조선인 연행"이라고 기술돼 있다면서 '부(負)의 역사'를 외면하지 말라고 일본 정부에 쓴소리를 했다.
사도광산이 속한 광역지자체인 니가타(新潟)현이 발간한 역사책에는 태평양전쟁(1941~1945년) 직전부터 시작된 조선인 강제 동원에 관한 더 직접적인 기술이 있다.
1988년 발간된 '니가타현사·통사편8·근대3'에는 "쇼와(昭和) 14년(1939년)에 시작된 노무 동원 계획은 명칭에선 '모집', '알선', '징용'으로 바뀌었지만,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했다는 사실에선 같다"라는 기술이 있다.
고가 고(古賀攻) 마이니치신문 전문편집위원은 지난 2일 기명 칼럼에서 이런 내용을 소개하면서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편찬한 것이라고 해도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생각하고 싶은 일본 정부로서는 불편한 공적 역사책이 있는 것은 틀림없다"고 지적했다.
도쿄신문도 4일 '사도광산 추천, 부의 역사 계승해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니가타현사는 사도광산에 대해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한 사실'이 있고, 차별 대우 때문에 탈주와 파업이 일어났다고 명기"했다면서 "(다른) 여러 문헌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전했다.
신문은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추천 내용은 에도(江戶) 시대(1603∼1867년)까지로 '전쟁 중의 일은 이번 추천과 관계가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세계유산은 등재 때 폭넓은 사회·역사적 배경을 반영할 것을 요구한다.
역사의 일부를 외면하는 추천으로는 국제 사회의 이해를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일제 조선인 징용 현장인 군함도(일본명 하시마)가 포함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 동원을 사실상 인정한 바 있다. 2015년 7월 당시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의 일부에선 조선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하게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하면서 희생자들을 기리는 시설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사토 대사는 강제 노역과 관련해서는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일본 정부는 '강제 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지난 1일 유네스코에 세계유산으로 공식 추천한 사도광산에 대해 "조선인 강제 노역 피해 현장"이라며 등재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쿄신문 "역사 일부 외면한 추천으론 국제사회 이해 얻을 수 없어" "(일본) 정부는 (태평양) 전쟁 중 조선인 강제 노동의 역사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
시이 가즈오(志位和夫) 일본공산당 위원장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사도(佐渡)광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한다고 밝힌 다음 날인 지난달 29일 발표한 담화에서 이같이 주문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시이 위원장은 사도광산이 있는 기초자치단체인 옛 아이카와초(相川町·현 사도시)가 지난 1995년 발간한 '사도 아이카와의 역사·통사편'에 "사도광산의 이상한 조선인 연행"이라고 기술돼 있다면서 '부(負)의 역사'를 외면하지 말라고 일본 정부에 쓴소리를 했다.
사도광산이 속한 광역지자체인 니가타(新潟)현이 발간한 역사책에는 태평양전쟁(1941~1945년) 직전부터 시작된 조선인 강제 동원에 관한 더 직접적인 기술이 있다.
1988년 발간된 '니가타현사·통사편8·근대3'에는 "쇼와(昭和) 14년(1939년)에 시작된 노무 동원 계획은 명칭에선 '모집', '알선', '징용'으로 바뀌었지만,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했다는 사실에선 같다"라는 기술이 있다.
고가 고(古賀攻) 마이니치신문 전문편집위원은 지난 2일 기명 칼럼에서 이런 내용을 소개하면서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편찬한 것이라고 해도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생각하고 싶은 일본 정부로서는 불편한 공적 역사책이 있는 것은 틀림없다"고 지적했다.
도쿄신문도 4일 '사도광산 추천, 부의 역사 계승해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니가타현사는 사도광산에 대해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한 사실'이 있고, 차별 대우 때문에 탈주와 파업이 일어났다고 명기"했다면서 "(다른) 여러 문헌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전했다.
신문은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추천 내용은 에도(江戶) 시대(1603∼1867년)까지로 '전쟁 중의 일은 이번 추천과 관계가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세계유산은 등재 때 폭넓은 사회·역사적 배경을 반영할 것을 요구한다.
역사의 일부를 외면하는 추천으로는 국제 사회의 이해를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일제 조선인 징용 현장인 군함도(일본명 하시마)가 포함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 동원을 사실상 인정한 바 있다. 2015년 7월 당시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의 일부에선 조선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하게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하면서 희생자들을 기리는 시설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사토 대사는 강제 노역과 관련해서는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일본 정부는 '강제 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지난 1일 유네스코에 세계유산으로 공식 추천한 사도광산에 대해 "조선인 강제 노역 피해 현장"이라며 등재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