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연 9% 금리 준다는 '청년희망적금'의 이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원의 절반 이상 은행 부담
정부의 과도한 생색내기
정소람 금융부 기자
정부의 과도한 생색내기
정소람 금융부 기자
“요즘 세상에 연 9%의 적금 금리 효과가 어떻게 가능하겠습니까. 방법은 하나뿐이죠.”(A은행 관계자)
금융위원회는 지난 7일 중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희망적금’을 오는 21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요즘 보기 드문 높은 금리에 금융권 안팎이 술렁거렸다. 이 상품은 매달 50만원 범위에서 2년간 저축하면 최고 연 9%의 적금과 같은 이자를 받도록 설계됐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 일정 소득 요건(직전연도 기준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을 충족하면 전국 11개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다.
적금 금리가 연 1~2%대에 불과한 요즘 어떻게 연 9%대 금리가 나올 수 있을까.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은 기본적으로 연 5% 금리를 주고, 2년 만기를 채우면 정부 예산으로 저축장려금(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는 4%)이 추가 지급된다. 여기에다 이자소득세, 농어촌특별세가 면제된다. 매월 50만원을 2년간 적금으로 부으면, 은행이 주는 이자 62만5000원에 저축장려금 36만원까지 총 98만5000원이 이자로 붙는다. 연 9.31%짜리 일반 적금과 같은 이자를 받는 셈이다.
처음부터 금리가 이렇게 높게 설계된 건 아니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이 상품 출시를 예고했다. 2년간 저축하면 시중은행 금리(연 2% 안팎)에 정부가 최대 4%포인트의 저축장려금을 지원하겠다는 게 골자였다. 그러나 실효성이 도마에 올랐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22년 예산안 총괄 분석 보고서’에서 “2년 뒤 36만원을 받는 청년희망적금이 자산 형성 사업으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혜택이 적어 청년들의 호응을 얻기 어렵다”는 비판도 덧붙였다.
결국 실효성 있는 혜택을 마련하기 위해 시중은행을 희생시킨 것 아니냐는 게 업계 지적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공시가 되지는 않았지만, 상당수의 은행은 연 5% 자체 금리를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안다”며 “평균 대출 금리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상품인 만큼 당연히 출혈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도 “판매하는 족족 손실이 발생하겠지만, ‘청년 복지’라는 명분을 은행이 거부하긴 어렵다”며 “코로나 소상공인 대출처럼 ‘줄 세우기’를 하려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도 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는) 투자로 ‘한방’을 노리는 청년들도 적지 않은 요즘 이들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돕자는 취지는 좋다. 그러나 그 뒤에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긴 어려울 것 같다. 정부 정책의 ‘구멍’을 메우기 위해 민간 기업을 강제 동원하는 관행을 그렇게 끊기 어려운 걸까.
금융위원회는 지난 7일 중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희망적금’을 오는 21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요즘 보기 드문 높은 금리에 금융권 안팎이 술렁거렸다. 이 상품은 매달 50만원 범위에서 2년간 저축하면 최고 연 9%의 적금과 같은 이자를 받도록 설계됐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 일정 소득 요건(직전연도 기준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을 충족하면 전국 11개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다.
처음부터 금리가 이렇게 높게 설계된 건 아니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이 상품 출시를 예고했다. 2년간 저축하면 시중은행 금리(연 2% 안팎)에 정부가 최대 4%포인트의 저축장려금을 지원하겠다는 게 골자였다. 그러나 실효성이 도마에 올랐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22년 예산안 총괄 분석 보고서’에서 “2년 뒤 36만원을 받는 청년희망적금이 자산 형성 사업으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혜택이 적어 청년들의 호응을 얻기 어렵다”는 비판도 덧붙였다.
결국 실효성 있는 혜택을 마련하기 위해 시중은행을 희생시킨 것 아니냐는 게 업계 지적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공시가 되지는 않았지만, 상당수의 은행은 연 5% 자체 금리를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안다”며 “평균 대출 금리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상품인 만큼 당연히 출혈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도 “판매하는 족족 손실이 발생하겠지만, ‘청년 복지’라는 명분을 은행이 거부하긴 어렵다”며 “코로나 소상공인 대출처럼 ‘줄 세우기’를 하려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도 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는) 투자로 ‘한방’을 노리는 청년들도 적지 않은 요즘 이들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돕자는 취지는 좋다. 그러나 그 뒤에 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긴 어려울 것 같다. 정부 정책의 ‘구멍’을 메우기 위해 민간 기업을 강제 동원하는 관행을 그렇게 끊기 어려운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