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만나도 감염 안된 이유 있었다…'슈퍼유전자' 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높은 수준의 T 세포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
'네버 코비드족'에 대한 연구 증대
'네버 코비드족'에 대한 연구 증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주변에 있는 등 코로나바이러스에 똑같이 노출돼도 감염이 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메디컬뉴스투데이, 메디스케이프 등 외신을 종합하면 최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은 일반적인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면역계의 세포 유형인 ‘T세포’ 수치가 높은 사람들이 코로나19인 ‘SARS-CoV-2’에 감염될 가능성이 낮다는 새로운 연구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한 가정 내에 코로나19 양성 환자가 있다고 다른 구성원들이 전염될 비율은 의외로 높지 않다는 결론을 내놨다.
연구진은 건강한 18~30세 남녀 36명에게 직접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주입한 뒤 이들을 통제된 환경에서 2주간 관찰한 결과, 실험 참가자 중 절반인 18명만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해당 연구의 제1 저자인 리하 쿤두 박사는 “SARS-CoV-2 바이러스에 노출된다고 해서 항상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감기와 같은 다른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때 신체에서 생성되는 높은 수준의 T 세포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를 이끈 대니 알트만 면역학 교수는 “똑같은 코로나19 환경에서 사람마다 왜 반응이 다른지에 대한 의문이 계속됐는데 특정 유전인자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특정 유전자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실히 내성을 갖고 있으며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세계 연구진들이 주목한 핵심 유전인자는 백혈구 항원(HLA)으로 이는 조직적합성항원 중 하나다. 유전자에 의해 형태가 결정되는데 특정 유형의 HLA를 가진 사람이 과거 감기를 앓았을 경우 코로나19 면역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이 현재 과학계의 공통된 견해다.
코로나19는 감기와 같은 ‘SARS-CoV’ 계열의 코로나 바이러스로 지금까지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CoV)’를 비롯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계절성 감기(인간코로나·HCoVs)’ 4종, ‘코로나19(SARS-CoV-2)’ 등 총 7종이다. 이것이 많은 과학자들이 코로나19와 감기 코로나의 ‘교차 면역’ 가능성에 주목한 이유다.
지금까지 확인된 코로나19에 강한 유전자는 ‘A24형’ 백혈구 항원이다. 이 항원을 보유한 사람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감염 세포를 파괴하는 ‘킬러 T세포’가 활발한 반응을 보였다. T세포가 감기 코로나의 특정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반응하는 면역 기억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한 것이다.
이 항원은 아시아인들에게 더 흔한 유전인자여서 미국·유럽 등에 비해 아시아 국가의 확진 사례가 적은 이유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고 있기도 하다.
영국 워릭대학교 분자종양학과 로렌스 영 교수는 “네버 코비드족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보편적인 변종 방지 백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메디컬뉴스투데이, 메디스케이프 등 외신을 종합하면 최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은 일반적인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면역계의 세포 유형인 ‘T세포’ 수치가 높은 사람들이 코로나19인 ‘SARS-CoV-2’에 감염될 가능성이 낮다는 새로운 연구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한 가정 내에 코로나19 양성 환자가 있다고 다른 구성원들이 전염될 비율은 의외로 높지 않다는 결론을 내놨다.
연구진은 건강한 18~30세 남녀 36명에게 직접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주입한 뒤 이들을 통제된 환경에서 2주간 관찰한 결과, 실험 참가자 중 절반인 18명만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해당 연구의 제1 저자인 리하 쿤두 박사는 “SARS-CoV-2 바이러스에 노출된다고 해서 항상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감기와 같은 다른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때 신체에서 생성되는 높은 수준의 T 세포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를 이끈 대니 알트만 면역학 교수는 “똑같은 코로나19 환경에서 사람마다 왜 반응이 다른지에 대한 의문이 계속됐는데 특정 유전인자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특정 유전자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실히 내성을 갖고 있으며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세계 연구진들이 주목한 핵심 유전인자는 백혈구 항원(HLA)으로 이는 조직적합성항원 중 하나다. 유전자에 의해 형태가 결정되는데 특정 유형의 HLA를 가진 사람이 과거 감기를 앓았을 경우 코로나19 면역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이 현재 과학계의 공통된 견해다.
코로나19는 감기와 같은 ‘SARS-CoV’ 계열의 코로나 바이러스로 지금까지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CoV)’를 비롯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계절성 감기(인간코로나·HCoVs)’ 4종, ‘코로나19(SARS-CoV-2)’ 등 총 7종이다. 이것이 많은 과학자들이 코로나19와 감기 코로나의 ‘교차 면역’ 가능성에 주목한 이유다.
지금까지 확인된 코로나19에 강한 유전자는 ‘A24형’ 백혈구 항원이다. 이 항원을 보유한 사람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감염 세포를 파괴하는 ‘킬러 T세포’가 활발한 반응을 보였다. T세포가 감기 코로나의 특정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반응하는 면역 기억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한 것이다.
이 항원은 아시아인들에게 더 흔한 유전인자여서 미국·유럽 등에 비해 아시아 국가의 확진 사례가 적은 이유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고 있기도 하다.
영국 워릭대학교 분자종양학과 로렌스 영 교수는 “네버 코비드족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보편적인 변종 방지 백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