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게임 한한령 완화 시그널 받고 있어"
"IOC 위원장에 컬처림픽 제안"
[올림픽] 황희 "中 개회식 한복, 日 독도지도와는 다른 사안"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8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 한복 등장 논란에 대해 "일본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홈페이지의 독도 일본 땅 표시 건과는 사안이 다르다"고 말했다.

올림픽 한국 정부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베이징을 방문 중인 황 장관은 이날 주중 한국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반중·반한 감정 완화를 위해 두 나라 정부의 '마중물'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조선족은 법률상 해외동포…동포가 우리 옷 입은 것"
황 장관은 개회식의 중국 국기 게양 때 소수 민족 복식을 한 공연자들과 함께 조선족을 대표해 한복을 입은 공연자가 등장하면서 국내 여론이 반발한 데 대해 "작년 도쿄하계올림픽 홈페이지가 지도상에 독도를 일본 영토인 것처럼 표시한 것과는 사안이 다르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중국 정부에 항의하지 않은 데 대한 국내 비판에 언급, "독도는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 주장하니까 강력 항의하고 대응할 문제였고, 한복은 중국 정부가 '중국옷'이라고 주장한 바 없다"며 "정부 대표로서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외동포법상 조선족은 우리의 해외동포에 해당한다"며 "(개회식 한복 등장은) 우리 동포가 우리 옷을 입은 것인데, 양국 네티즌들의 글 등이 상대를 자극하다 보니 그런 정서(반중·반한 정서)가 쌓이게 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황 장관은 "'동북공정'(고구려사와 발해사 등을 중국 역사로 편입하려는 중국의 역사 연구 프로젝트)이 엮이면서 서로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신화 통신과의 인터뷰에서도 양국 간 오해 소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세심했으면 하는 부분이 아쉽다고 말했다"고 했다.

[올림픽] 황희 "中 개회식 한복, 日 독도지도와는 다른 사안"
◇ "게임, 관광 등 한한령 조금씩 열린다는 신호 접해"
그러면서 중국 내 반한 감정에 대해 "중국 입장에서 한국을 '작은 나라'라고 생각했는데, 세계사적으로 물리적인 하드 파워를 사용하지 않고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미친 나라는 대한민국뿐이라는 데 대한 불편함이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반중, 반한 감정을 완화하기 위해 "양국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거우중원 중국 국가체육총국 국장(체육장관)을 만나서 '골 때리는 그녀들'(여성 연예인들이 축구 경기를 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한중일 여성 연예인들끼리 해보면 어떻겠냐고 하니 거우 국장도 '검토해보겠다'며 웃었다"고 전했다.

황 장관은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의 일환으로 시행 중인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에 대해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 관광 이런 부분은 조금씩 열린다는 시그널을 끊임없이 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이 걷히고 중국도 관광이나 판호 등에서 풀면 우리 국민 정서도 지금보다는 많이 너그러워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 "바흐 위원장에 컬처림픽(문화 올림픽) 제안"
황 장관은 이번 방중 기간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컬처림픽(올림픽 계기에 각국 문화를 선보이는 대회)을 제안했다면서 내달 중 제안서를 보낸 뒤 바흐 위원장에게 브리핑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바흐 위원장은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황 장관은 말했다.

또 2024년 평창동계청소년 올림픽에 대해 IOC의 지원을 요청했으며, 오는 10월 열리는 제1회 올림픽 레거시(legacy·유산) 포럼에 바흐 위원장의 참석과 기조연설을 요청해 수락을 끌어냈다고 전했다.

[올림픽] 황희 "中 개회식 한복, 日 독도지도와는 다른 사안"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