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증도 스마트폰에 넣고 다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바일 신분증 시대
4월부터 스마트폰에 등록
관공서·공항 등서 신분 확인
하반기 PASS앱에서도 이용
4월부터 스마트폰에 등록
관공서·공항 등서 신분 확인
하반기 PASS앱에서도 이용
오는 4월부터 스마트폰에 주민등록 정보를 넣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기존 플라스틱 주민등록증 없이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관공서, 편의점, 극장, 공항 등에서 편리하게 신분 확인을 할 수 있는 것이다. 2020년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도입된 데 이어 주민등록증도 디지털화하면서 본격적인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열렸다.
행정안전부는 10일 서울 중구 SKT 타워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보안 강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도 주민등록번호, 사진, 주소 등의 정보와 그 진위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달 공포된 개정 주민등록법에 따라 서비스 도입 근거가 마련됐다.
본인 명의로 개통된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1인1휴대폰’ 등록이 원칙이다. 4월 ‘정부24’ 앱에서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하반기에는 이동통신사 통합 간편 본인 확인 서비스인 ‘패스(PASS)’ 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는 정부24와 패스 앱을 통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뒤 비밀번호를 입력해 서비스를 등록하면 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본 화면에서 사진과 이름이 표시되고 상세 화면으로 들어가면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QR코드를 찍으면 진위를 알려준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금융 거래나 민원서류 발행 등 본인을 확인해야 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활용할 수 있다. 편의점 등에서 술이나 담배를 살 때, 영화관에서 미성년자 여부 확인, 공항·여객터미널에 탑승할 때, 사인 간 계약이나 거래 시 본인 여부를 확인할 때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운전면허증은 주민등록증보다 앞서 모바일 서비스를 도입했다. 패스 앱은 2020년 6월 서비스 시작 후 현재 패스 가입자 3600만 명 중 370만 명이 이용 중이다.
일각에선 모바일 신분증이 활성화될수록 개인정보 유출 사고 우려가 커질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스마트폰에 모든 개인정보가 집약되면서 도난과 분실, 해킹 시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규창 행안부 차관은 “본인 명의가 아닌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등 보안성과 안정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행정안전부는 10일 서울 중구 SKT 타워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보안 강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도 주민등록번호, 사진, 주소 등의 정보와 그 진위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달 공포된 개정 주민등록법에 따라 서비스 도입 근거가 마련됐다.
본인 명의로 개통된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1인1휴대폰’ 등록이 원칙이다. 4월 ‘정부24’ 앱에서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하반기에는 이동통신사 통합 간편 본인 확인 서비스인 ‘패스(PASS)’ 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는 정부24와 패스 앱을 통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뒤 비밀번호를 입력해 서비스를 등록하면 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본 화면에서 사진과 이름이 표시되고 상세 화면으로 들어가면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QR코드를 찍으면 진위를 알려준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금융 거래나 민원서류 발행 등 본인을 확인해야 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활용할 수 있다. 편의점 등에서 술이나 담배를 살 때, 영화관에서 미성년자 여부 확인, 공항·여객터미널에 탑승할 때, 사인 간 계약이나 거래 시 본인 여부를 확인할 때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운전면허증은 주민등록증보다 앞서 모바일 서비스를 도입했다. 패스 앱은 2020년 6월 서비스 시작 후 현재 패스 가입자 3600만 명 중 370만 명이 이용 중이다.
일각에선 모바일 신분증이 활성화될수록 개인정보 유출 사고 우려가 커질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스마트폰에 모든 개인정보가 집약되면서 도난과 분실, 해킹 시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규창 행안부 차관은 “본인 명의가 아닌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등 보안성과 안정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