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골퍼, 스윙 후 손가락 통증 무시했다간 '위험' [건강!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초보골퍼 '방아쇠 수지 증후군' 주의해야
자연스럽게 호전…방치할 경우 관절염 진행도
자연스럽게 호전…방치할 경우 관절염 진행도

사람들이 골프를 선호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코로나 19가 장기화하면서 여러 사람이 같이 모여서 즐기는 스포츠가 사실상 금지되었는데, 골프는 야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비교적 적고 신체 접촉이 덜하다는 인식이 있다.
초보 골퍼들이 보통 골프를 치고 난 뒤 손가락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골프 클럽은 묵직한 무게를 지니고 있어 손에 힘을 주어 클럽을 쥐는 동작만으로도 손가락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데 초보 골퍼들은 그립을 잡는 강도를 조절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데다가, 힘을 주기 위해 골프채를 꽉 잡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골프를 치고 난 뒤 생기는 손가락 통증은 대부분 휴식을 취하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손가락 통증이 지속한다면 ‘방아쇠 수지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정형외과 전문의 이상윤 원장은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 날에 통증이 심해지며 특히 야간 통증이 심하다”라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호전되기도 하지만 방치하면 손가락 관절강직과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그러면서 “초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초기에는 간단한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 있다. 소염진통제를 이용한 약물치료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증상이 더 진행된 경우에는 주사 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 할 수 있다”라면서 “만약 방치하게 돼 치료 시기를 놓쳐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 보존적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초보자들의 경우 그립 잡는 방법이 어려워 그립을 잡은 채로 공을 계속 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장시간 동안 손가락을 같은 동작으로 힘을 주게 되면 증상이 더 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중간중간 스트레칭과 함께 그립을 풀고 다시 잡는 것을 반복하면서 치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도움말=이상윤 연세건우병원 원장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