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응해 고위험군 중심으로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하도록 체계를 바꿨지만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PCR 검사량이 크게 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2월 3일 검사 체계를 전환한 후 하루 평균 50만건의 검사가 시행됐는데, 이번 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하루 60만건 이상으로 검사량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14일의 경우 하루 68만건의 PCR(유전자 증폭) 검사가 시행됐다.
정부는 지난 3일 60세 이상의 고위험군 등 우선 검사 대상만 PCR 검사를 받고, 그 외는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방식으로 진단검사 체계를 전환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보건소 선별진료소의 신속항원검사도 일평균 약 30만건 수준으로 시행되는 등 전체적인 검사량이 크게 증가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교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해 학교장이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학생이나, 입원환자 보호자 등도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 대상을 확대했다.
현행 우선검사 대상자는 ▲ 60세 이상 고령자 ▲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 역학 연관자(밀접접촉자·해외입국자·격리해제 전 검사자) ▲ 감염취약시설 관련자(요양시설 종사자·외국인보호시설-소년보호기관-교정시설 입소자·휴가 복귀 장병·의료기관 입원 전 환자) ▲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등이다.
방역당국이 검사 대상을 확대함에 따라 지난 14일부터는 학교장이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학생들도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오는 21일부터는 입원 예정 환자와 함께 선별진료소에 방문하는 보호자 1인도 무료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