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형·누나와 다르게 난폭한 다섯째…도대체 왜 그럴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9) 도리스 레싱《 다섯째 아이 》
소설이나 영화를 보고 딱 한 단어로 요약할 때 고구마나 사이다를 들먹인다. 2007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도리스 레싱의 소설 《다섯째 아이》는 고구마 쪽이다. 벤과 친구들의 일탈을 보며 ‘사이다’를 외치는 독자도 있을지 모르겠다. 172페이지로 얇은 책이지만 내용이 묵직해 읽고 나면 여러 생각이 떠오른다.
도리스 레싱은 생전에 자신의 소설을 어떤 틀 속에서 해석하는 걸 경계했다. 그녀의 대표작인 《황금빛 노트북》을 여성해방운동 시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에 대해 ‘국지적 해석이 아닌 모든 억압받는 집단의 해방’이라는 넓은 차원으로 보길 원했다. 작가는 1988년에 발표한 《다섯째 아이》를 1980년대 영국의 상황에 대한 정치적 비유 또는 우화로 읽지 않길 당부했다.
직장 파티에서 만난 해리엇과 데이비드, 둘은 ‘보수적이면서 좀 답답한 사람, 수줍고 비위 맞추기 어려운 사람’이라는 평을 들었다. 남자를 사귄 적 없는 해리엇과의 만남에 매우 신중한 데이비드는 구석에서 술잔을 들고 서 있다가 마치 서로를 보는 듯한 느낌에 빠지게 된다.
행복한 가정에서 자란 해리엇과 달리 데이비드는 일곱 살 때 부모의 이혼을 겪었다. 선박 건조업자인 부자 아버지 제임스와 달리 어머니 몰리는 검소한 교수와 재혼했다. 여동생은 부자 아빠를 따라갔고 데이비드는 난방이 안 되는 낡은 엄마 집을 선택했다.
형, 누나들과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엄마에게도 가까이 오지 않는 벤. 힘은 점점 더 세지고 아무 때나 고함을 질러 모두를 질리게 한다. 결국 데이비드는 아들을 요양원에 보낸다. 해리엇은 4시간 걸리는 요양원에 찾아갔고, 더러운 환경과 약물에 취해 있는 벤을 데려온다.
네 명의 정상적인 아이와 한 명의 감당할 수 없는 아이, 양쪽을 다 돌보는 건 힘든 일이다. 엄마의 보살핌을 못 받은 네 명의 아이들은 스스로 제 살길을 찾아 나선다. 기숙학교에 다니거나 친척 집에 머물던 아이들은 방학 때 잠깐 집에 들른다. 아이들의 학비를 마련하고 넓은 집을 유지하기 위해 퇴근 후 아르바이트까지 하는 데이비드는 돌아오지 않는 날이 많다. 늘 떠들썩하던 집에는 벤의 고함과 해리엇의 두려움만 떠다닌다.
소설은 ‘그럼 이제 벤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라고 질문하며 끝난다. 대체 왜 착한 부부에게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해리엇이 “우리가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가 행복해야겠다고 결정했기 때문에”라고 자책할 때 데이비드는 “누구나 벤 같은 애를 가질 수 있어. 그건 우연히 나타난 유전자야. 그것뿐이야”라며 달랜다.
도리스 레싱은 ‘빙하시대의 유전자가 우리에게도 내려온다’는 인류학자의 글을 보고 소설을 구상했다고 한다. 실제로 소설 속에 격세유전을 비롯한 이상한 유전자 얘기가 계속 등장한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심각한 범죄가 늘어나는 현실 속에서 작가는 벤을 통해 우리도 인정하고 싶지 않은 미래의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벤과 그 일당들’로 불리는 아이들을 감당하지 못하는 학교와 가정을 보면서 점점 광포해지는 우리 사회의 청소년 범죄를 떠올리게 된다.
착하고 깨끗하게,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도 예기치 못한 불행이 닥치는 게 인생이다. 비정상적인 아이를 포기한 데이비드와 두려우면서도 벤 곁을 떠나지 못해 네 명의 아이와 멀어진 해리엇, 어떤 선택이 맞는 것일까. 누구도 알 수 없는 삶의 여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도리스 레싱은 생전에 자신의 소설을 어떤 틀 속에서 해석하는 걸 경계했다. 그녀의 대표작인 《황금빛 노트북》을 여성해방운동 시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에 대해 ‘국지적 해석이 아닌 모든 억압받는 집단의 해방’이라는 넓은 차원으로 보길 원했다. 작가는 1988년에 발표한 《다섯째 아이》를 1980년대 영국의 상황에 대한 정치적 비유 또는 우화로 읽지 않길 당부했다.
직장 파티에서 만난 해리엇과 데이비드, 둘은 ‘보수적이면서 좀 답답한 사람, 수줍고 비위 맞추기 어려운 사람’이라는 평을 들었다. 남자를 사귄 적 없는 해리엇과의 만남에 매우 신중한 데이비드는 구석에서 술잔을 들고 서 있다가 마치 서로를 보는 듯한 느낌에 빠지게 된다.
행복한 가정에서 자란 해리엇과 달리 데이비드는 일곱 살 때 부모의 이혼을 겪었다. 선박 건조업자인 부자 아버지 제임스와 달리 어머니 몰리는 검소한 교수와 재혼했다. 여동생은 부자 아빠를 따라갔고 데이비드는 난방이 안 되는 낡은 엄마 집을 선택했다.
행복한 가정을 꿈꾸는 착한 부부
해리엇과 데이비드는 최소한 여섯 명의 아이를 낳기로 하고, 런던에서 2시간 거리의 소도시에 호텔을 방불케 하는 큰 집을 마련했다. 이 집에서 6년 동안 네 명의 아이를 낳고 크리스마스와 부활절마다 수십 명의 친척들과 떠들썩하고 즐거운 파티를 벌였다. 그야말로 해리엇과 데이비드가 꿈꾸던 삶을 살게 된 것이다. 또다시 아이를 가진 해리엇은 임신 기간 내내 통증에 시달린 끝에 두툼한 어깨에다 구부정한 모습에 머리 모양과 머리카락까지 이상한 아이를 낳고 당황한다. 태어나자마자 녹색눈으로 엄마를 쏘아본, 묵직하고 누르스름한 덩어리 같은 벤으로 인해 모든 게 엉망이 된다. 우유를 다른 아기의 두 배나 먹는 벤은 한 살 위인 폴의 팔을 꺾어버릴 정도로 힘이 셌다. 어린 벤이 쏘아보면 동물들도 벌벌 떨었고 집안에서 개와 고양이가 차례로 죽는 일까지 발생한다.형, 누나들과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엄마에게도 가까이 오지 않는 벤. 힘은 점점 더 세지고 아무 때나 고함을 질러 모두를 질리게 한다. 결국 데이비드는 아들을 요양원에 보낸다. 해리엇은 4시간 걸리는 요양원에 찾아갔고, 더러운 환경과 약물에 취해 있는 벤을 데려온다.
네 명의 정상적인 아이와 한 명의 감당할 수 없는 아이, 양쪽을 다 돌보는 건 힘든 일이다. 엄마의 보살핌을 못 받은 네 명의 아이들은 스스로 제 살길을 찾아 나선다. 기숙학교에 다니거나 친척 집에 머물던 아이들은 방학 때 잠깐 집에 들른다. 아이들의 학비를 마련하고 넓은 집을 유지하기 위해 퇴근 후 아르바이트까지 하는 데이비드는 돌아오지 않는 날이 많다. 늘 떠들썩하던 집에는 벤의 고함과 해리엇의 두려움만 떠다닌다.
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점점 더 섬뜩한 아이로 변해가는 벤은 중학교에 들어가면서 나쁜 아이들을 집으로 끌고 와 냉장고 음식을 다 먹어버리고 TV를 보며 떠들다가 며칠씩 가출하기 일쑤다. 폭동 장면을 보도하는 TV 뉴스에서 벤과 친구들이 뭉쳐 서 있는 걸 본 해리엇은 절망스럽기만 하다.소설은 ‘그럼 이제 벤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라고 질문하며 끝난다. 대체 왜 착한 부부에게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해리엇이 “우리가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가 행복해야겠다고 결정했기 때문에”라고 자책할 때 데이비드는 “누구나 벤 같은 애를 가질 수 있어. 그건 우연히 나타난 유전자야. 그것뿐이야”라며 달랜다.
도리스 레싱은 ‘빙하시대의 유전자가 우리에게도 내려온다’는 인류학자의 글을 보고 소설을 구상했다고 한다. 실제로 소설 속에 격세유전을 비롯한 이상한 유전자 얘기가 계속 등장한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심각한 범죄가 늘어나는 현실 속에서 작가는 벤을 통해 우리도 인정하고 싶지 않은 미래의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벤과 그 일당들’로 불리는 아이들을 감당하지 못하는 학교와 가정을 보면서 점점 광포해지는 우리 사회의 청소년 범죄를 떠올리게 된다.
착하고 깨끗하게,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도 예기치 못한 불행이 닥치는 게 인생이다. 비정상적인 아이를 포기한 데이비드와 두려우면서도 벤 곁을 떠나지 못해 네 명의 아이와 멀어진 해리엇, 어떤 선택이 맞는 것일까. 누구도 알 수 없는 삶의 여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