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판 행진' 한투 中공모주펀드, 결국 채권형 전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윈 사태로 IPO 줄줄이 연기
자금 유출로 모펀드 설정액 미달
국공채 위주 포트폴리오 재설계
자금 유출로 모펀드 설정액 미달
국공채 위주 포트폴리오 재설계
열흘 만에 완판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커촹반 공모주 펀드가 1년 반 만에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앤트그룹 등의 기업공개(IPO) 연기로 자금이 줄곧 빠져나가 현지 IPO 참여 가능 요건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펀드의 인기로 출시된 2호펀드 역시 자금이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
18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한국투자중국공모주펀드는 이날부터 국내 채권형펀드로 전환된다. 원래 이 펀드는 중국의 나스닥이라 불리는 커촹반 시장에서 IPO가 진행되면 직접 수요예측에 참여해 수익을 올리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이 펀드가 추종하는 모펀드의 설정액이 150억원에 미달하면서 현지 IPO 수요예측 참여 요건을 못 맞추게 됐다. 2년 만기인 이 펀드는 오는 8월 25일까지 채권형 펀드로 운용되고, 만기 때 청산 후 투자금을 돌려받는다.
이 펀드는 2020년 9월 출시 당시만 해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앤트그룹 등 굵직한 IPO가 예정돼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현지 IPO에 직접 참여하는 펀드가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집액 500억원을 열흘 만에 달성해 가입을 닫았고, 한 달 만인 2020년 10월 2호펀드를 출시하기도 했다. 2호펀드 역시 1호펀드 인기에 힘입어 6일 만에 650억원이 모두 모여 판매 종료됐다.
분위기가 바뀐 건 이른바 ‘마윈 사태’ 이후다. 2020년 10월 말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중국 금융당국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뒤로 기술주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됐다. IPO 대어로 꼽혔던 앤트그룹을 시작으로 굵직한 IPO가 철회되기 시작했다. 중국 공모주 시장이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자 투자자들은 펀드에서 자금을 빼기 시작했다.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는 건 2호펀드 역시 마찬가지다. 2호펀드는 설정액이 220억원을 기록 중이어서 70억원이 추가로 유출되면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한투운용은 1호펀드에 대해 보호예수 확약으로 당장 매도할 수 없는 6개 종목(펀드 내 비중 0.15%)을 제외하고 보유 중인 128억원 규모의 공모주를 이달 말까지 매도할 예정이다. 주식 매도 자금은 국내로 회수해 국공채 위주로 포트폴리오로 다시 설계한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18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한국투자중국공모주펀드는 이날부터 국내 채권형펀드로 전환된다. 원래 이 펀드는 중국의 나스닥이라 불리는 커촹반 시장에서 IPO가 진행되면 직접 수요예측에 참여해 수익을 올리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이 펀드가 추종하는 모펀드의 설정액이 150억원에 미달하면서 현지 IPO 수요예측 참여 요건을 못 맞추게 됐다. 2년 만기인 이 펀드는 오는 8월 25일까지 채권형 펀드로 운용되고, 만기 때 청산 후 투자금을 돌려받는다.
이 펀드는 2020년 9월 출시 당시만 해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앤트그룹 등 굵직한 IPO가 예정돼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현지 IPO에 직접 참여하는 펀드가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집액 500억원을 열흘 만에 달성해 가입을 닫았고, 한 달 만인 2020년 10월 2호펀드를 출시하기도 했다. 2호펀드 역시 1호펀드 인기에 힘입어 6일 만에 650억원이 모두 모여 판매 종료됐다.
분위기가 바뀐 건 이른바 ‘마윈 사태’ 이후다. 2020년 10월 말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중국 금융당국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뒤로 기술주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됐다. IPO 대어로 꼽혔던 앤트그룹을 시작으로 굵직한 IPO가 철회되기 시작했다. 중국 공모주 시장이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자 투자자들은 펀드에서 자금을 빼기 시작했다.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는 건 2호펀드 역시 마찬가지다. 2호펀드는 설정액이 220억원을 기록 중이어서 70억원이 추가로 유출되면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한투운용은 1호펀드에 대해 보호예수 확약으로 당장 매도할 수 없는 6개 종목(펀드 내 비중 0.15%)을 제외하고 보유 중인 128억원 규모의 공모주를 이달 말까지 매도할 예정이다. 주식 매도 자금은 국내로 회수해 국공채 위주로 포트폴리오로 다시 설계한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