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 악화땐 반도체 생산·車 수출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협, 국내 기업 영향 보고서
반도체용 희귀가스 수입 차질
對러시아 수출 반토막 날 수도
반도체용 희귀가스 수입 차질
對러시아 수출 반토막 날 수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하면 자동차부품, 화장품, 플라스틱 등의 품목 교역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국내 기업이 원가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것은 물론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일부 희귀가스 수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 기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 등으로 악화할 경우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한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이 크게 줄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4년 당시 한국의 러시아 수출 규모는 101억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에는 47억달러로 53.7% 급감했다. 러시아는 한국의 10위 교역 대상국이다. 특히 우리 수출입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는 화장품(444개사), 기타 플라스틱(239개사), 자동차부품(201개사) 분야에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오는 희귀 광물류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의 교역 규모는 연간 9억달러(교역 대상국 68위)에 불과하지만, 네온·크립톤·크세논 등의 수입 의존도는 각각 23%, 30.7%, 17.8%다. 희귀가스인 이들 원재료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 필수적이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권 수출입 기업 8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했다. 기업들은 사태 악화 시 거래 위축(22.7%), 루블화 환리스크(21%), 물류난(20.2%) 등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는 무역보험 지원(25.4%), 신속한 정보 제공(21.3%), 거래처 다변화 지원(17.2%)을 꼽았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러시아가 일부 병력을 철수하며 긴장감은 완화됐으나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 의견 차이가 커 즉각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사태 인식, 경제제재에 따른 영향, 원자재 수급난 등을 고려해 정부의 긴밀한 모니터링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 기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 등으로 악화할 경우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한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이 크게 줄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4년 당시 한국의 러시아 수출 규모는 101억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에는 47억달러로 53.7% 급감했다. 러시아는 한국의 10위 교역 대상국이다. 특히 우리 수출입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는 화장품(444개사), 기타 플라스틱(239개사), 자동차부품(201개사) 분야에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오는 희귀 광물류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의 교역 규모는 연간 9억달러(교역 대상국 68위)에 불과하지만, 네온·크립톤·크세논 등의 수입 의존도는 각각 23%, 30.7%, 17.8%다. 희귀가스인 이들 원재료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 필수적이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권 수출입 기업 8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했다. 기업들은 사태 악화 시 거래 위축(22.7%), 루블화 환리스크(21%), 물류난(20.2%) 등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는 무역보험 지원(25.4%), 신속한 정보 제공(21.3%), 거래처 다변화 지원(17.2%)을 꼽았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러시아가 일부 병력을 철수하며 긴장감은 완화됐으나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 의견 차이가 커 즉각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사태 인식, 경제제재에 따른 영향, 원자재 수급난 등을 고려해 정부의 긴밀한 모니터링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