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카카오택시가 승객을 골라 태우는 정황을 포착했다는 서울시의 조사 결과에 카카오모빌리티가 24일 자료를 내고 반박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카카오T 플랫폼은 장거리, 단거리 콜을 가려서 기사에게 전달하거나 장거리 콜 손님을 우선적으로 매칭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시는 23일 카카오택시 841대를 대상으로 지난해 10∼11월 실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평일 밤 시간대 도심에서 비도심으로 가는 단거리 통행’의 호출 성공률은 23%로 전체 호출 유형 중 가장 낮았다. 같은 조건에서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호출 성공률이 54%로 두 배 이상 높았다.

이에 대해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사의 선택에 따른 결과라는 입장을 내놨다. 카카오T 플랫폼은 카카오T블루 등 가맹택시와 비(非) 가맹택시로 운영된다. 가맹택시의 경우에는 기사가 콜을 고를 수 없는 자동 배차 방식이다.

반면 비가맹택시는 콜의 목적지를 보고 승객을 선택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카카오T로 들어오는 모든 콜을 비가맹택시 기사에게 전달하지만 일부 기사들이 수익이 좋은 콜을 선호하면서 단거리(3㎞ 이내) 호출의 성공률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택시 공급량 대비 수요량이 지금보다 증가하면 이런 현상이 더 심해진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정부가 택시 면허 공급량을 늘리면 근본적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가맹택시에 콜을 몰아준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카카오모빌리티는 반발했다. 서울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택시를 호출해도 39%는 가맹택시가 배차된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비가맹택시 기사가 받지 않은 비선호 콜을 가맹택시에 강제 배정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의 조사 결과를 봐도 가맹택시의 단거리 배차 비율(46.2%)이 장거리(31.1%)보다 높았다. 가맹 택시 기사는 승차 거부 없이 운행한 결과라는 것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설명이다.

김주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