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에너지 위기와 탄소중립 딜레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천연가스 가격 급상승
EU, 원자력 등 '친환경' 인정"
Joseph C Sternberg WSJ 칼럼니스트
EU, 원자력 등 '친환경' 인정"
Joseph C Sternberg WSJ 칼럼니스트

이는 급격히 오르는 에너지 비용 위기 속에서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투자를 보류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다.
정치권은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영국 보수당 의원들은 존슨 총리의 넷제로 야망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드러내기 위해 당원대회를 열었다. 리시 수낙 영국 재무부 장관은 북해 원유 시추에 대한 열의를 보이고 있다. 좌파 일간지 가디언은 기후변화 대응을 강력히 주장하는 마이클 맨(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을 인용해 이런 노력을 ‘문화 전쟁’으로 낙인찍었다.
유럽 정치권은 지난해 프랑스의 저명한 경제학자 장 피사니 페리가 했던 말에 뒤늦게 각성하고 있다. 그의 주장을 바꿔 말하면 탄소를 배출하는 에너지는 저렴한데 그 대안은 여전히 모호하다는 것이다. 또 앞으로 탄소 저감 기술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를 억제해야 한다고 했다.
정치인은 석유기업을 압박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최근 큰 수익을 발표한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셸 등 석유기업의 ‘폭풍 이익’에 막대한 세금을 매기는 일이 벌어졌다. 그 회사들은 소비자를 속인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주주에게 발표한 계획은 수익을 통해 녹색 프로젝트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영국 노동당은 석유기업에 ‘횡재세’를 물려야 한다는 주장도 한다. 그러나 이런 요구는 기후변화 대응에서 물러나 정치적 탈선을 인정하는 것이다. 언젠가는 이들 좌파 스스로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지도 모르겠다.
정치인이 뒤늦게 구걸하러 오면 투자자는 기꺼이 도우려 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몇 년간 기후 운동가와 금융계의 열성적 지지자가 녹색 목표를 추구하며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에 따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이 가운데 ‘환경’을 의미하는 E가 등장했다. 정치인은 그런 흐름을 금융 규제에 포함하려는 노력에도 도움을 주었다.
EU의 녹색분류체계는 원자력과 천연가스 투자를 친환경 활동으로 여기도록 장려함으로써 기존 생각을 전복시켰다. 투자자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금 정치인의 시급한 문제는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작동하는 에너지와 금융시장을 되찾는 것이다. 이것이 진짜 문화 전쟁일 것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Europe’s Net-Zero Carbon Crackup Begins Ahead of Schedule’을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