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외쳤던 文…대선 코앞서 "다시 원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文대통령 "원전이 향후 60년간
주력 전원, 충분히 활용"
신한울 1·2호기 등 정상가동 주문
野 "지난 5년 자기부정"
주력 전원, 충분히 활용"
신한울 1·2호기 등 정상가동 주문
野 "지난 5년 자기부정"
문재인 대통령이 “향후 60여 년 동안은 원전을 주력 기저전원으로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 들어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6호기에 대한 조속한 정상 가동을 주문했다. 임기 말 에너지 공급망 불안 상황에서 뒤늦게 원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5년 내내 추진했던 탈원전 정책의 변화를 시사하고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25일 청와대에서 연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현안 점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과 관련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반 확충을 위한 국내 원전 실태 점검 결과 등을 보고받고 이같이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등을 2084년까지 ‘장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며 “적절한 가동률을 유지하면서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6호기는 (경북) 포항과 경주의 지진, 공극 발생, 국내 자립기술 적용 등에 따라 건설이 지연됐다”며 “그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 강화와 선제적 투자가 충분하게 이뤄진 만큼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에 단계적 정상 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원전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원전해체 기술, SMR(소형모듈원자로) 연구, 핵융합 연구에 속도를 내는 한편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침도 조기에 검토해 결론을 내달라”고 주문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대선을 코앞에 두고 원전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탈원전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도로 보고 있다. 황규환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은 “그렇게나 탈원전을 포기하라고 이야기할 때는 들은 척도 안 하더니, 우크라이나 사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니 이제 와서 ‘원전이 주력 전원’이라고 한다”며 “보고서 조작까지 서슴지 않았던 지난 5년에 대한 자기부정”이라고 비판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문 대통령은 25일 청와대에서 연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현안 점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과 관련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반 확충을 위한 국내 원전 실태 점검 결과 등을 보고받고 이같이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등을 2084년까지 ‘장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며 “적절한 가동률을 유지하면서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6호기는 (경북) 포항과 경주의 지진, 공극 발생, 국내 자립기술 적용 등에 따라 건설이 지연됐다”며 “그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 강화와 선제적 투자가 충분하게 이뤄진 만큼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에 단계적 정상 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원전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원전해체 기술, SMR(소형모듈원자로) 연구, 핵융합 연구에 속도를 내는 한편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침도 조기에 검토해 결론을 내달라”고 주문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대선을 코앞에 두고 원전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탈원전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도로 보고 있다. 황규환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은 “그렇게나 탈원전을 포기하라고 이야기할 때는 들은 척도 안 하더니, 우크라이나 사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니 이제 와서 ‘원전이 주력 전원’이라고 한다”며 “보고서 조작까지 서슴지 않았던 지난 5년에 대한 자기부정”이라고 비판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