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기자 코너] 반복되는 세계적 유행병, 근본 문제는 환경 파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회적 거리두기나 백신은 바이러스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우리가 환경을 계속 파괴하고 기후 변화를 막지 못한다면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머지않아 같은 비극이 반복될 것이다.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그리고 2019년 12월 발생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까지. 인류를 강타한 세 종류의 바이러스는 모두 박쥐에서 인간에게 전염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박쥐에게 있었던, 박쥐에게만 있었다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을 바이러스가 왜 인간에게 옮겨졌을까.
그 원인은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에서 찾을 수 있다. 열대 포유동물인 박쥐가 지구온난화로 아열대와 온대 기후 지역까지 서식지를 넓혔고, 그로 인해 인간과 접촉이 많아진 것이다. 박쥐들이 새로운 서식지로 가장 많이 선택한 지역이 중국 남부와 라오스 북부라고 한다. 바로 이 지역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간과 접촉이 많아진 야생동물은 박쥐만이 아니다. 기후 변화로 서식지를 잃고 옮겨다니는 동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반면 인간은 야생의 자연환경을 해치면서 원래 동물이 살았던 공간으로 침투해 들어가고 있다. 이런 변화는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큰 전염병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발생 주기도 더 짧아질 위험이 크다. 인간이 저지른 환경 파괴가 다시 인간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나 백신은 바이러스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결국 박쥐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문제였다. 우리가 환경을 계속 파괴하고 기후 변화를 막지 못한다면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머지않아 같은 비극이 반복될 것이다.
최호연 생글기자(서현중 2년)
그 원인은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에서 찾을 수 있다. 열대 포유동물인 박쥐가 지구온난화로 아열대와 온대 기후 지역까지 서식지를 넓혔고, 그로 인해 인간과 접촉이 많아진 것이다. 박쥐들이 새로운 서식지로 가장 많이 선택한 지역이 중국 남부와 라오스 북부라고 한다. 바로 이 지역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간과 접촉이 많아진 야생동물은 박쥐만이 아니다. 기후 변화로 서식지를 잃고 옮겨다니는 동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반면 인간은 야생의 자연환경을 해치면서 원래 동물이 살았던 공간으로 침투해 들어가고 있다. 이런 변화는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큰 전염병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발생 주기도 더 짧아질 위험이 크다. 인간이 저지른 환경 파괴가 다시 인간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나 백신은 바이러스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결국 박쥐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문제였다. 우리가 환경을 계속 파괴하고 기후 변화를 막지 못한다면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머지않아 같은 비극이 반복될 것이다.
최호연 생글기자(서현중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