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팬데믹 대비하라" 경고
봉쇄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검사·추적·치료가 과학적 선택
거리두기·감염상황 왜곡시키는
'선무당' 교시·포퓰리즘 경계해야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그런데 빌 게이츠가 권고한 방역 모델이 뜻밖이다. 검사·추적·치료를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거뒀다고 정부가 떠들썩하게 자랑해온 우리의 K방역이 아니었다. 오히려 전면적인 국경 봉쇄도 모자라 강력한 지역봉쇄(록다운)로 국민을 힘들게 만들었던 호주의 방역을 극찬했다.
사실 코로나19의 등장을 예견한 것은 빌 게이츠만이 아니었다. 우리 질병관리청도 오래전부터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에 적극적으로 대비해 왔다. 2019년 1월 20일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염기서열이 공개되고, 2주일 만에 세계 최초로 완벽한 진단키트를 내놓은 것은 그런 준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역시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발생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방역에 완벽하게 실패한 뼈아픈 경험이 전화위복이 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가 유별난 선지자적 혜안을 갖고 있었던 것도 아니다. 다만 전 세계 감염병 전문가들이 오래전부터 공유하고 있던 우려를 함부로 외면하지 않았을 뿐이다. 1960년대부터 알려지기 시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일반 감기는 크게 걱정할 이유가 없는 평범한 인수공통 호흡기 감염병이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 위험성은 처음부터 분명했다. 1920년대 미국의 양계장에서 처음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병의 치명률은 최대 90%에 이를 정도였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언제든지 인류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악동으로 돌변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진 바이러스였던 셈이다.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5년의 메르스도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으킨 재앙이다.
새로운 팬데믹의 출현도 빌 게이츠의 엄중한 경고가 필요할 정도로 유별난 일이 아니다. 이미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평균 5년마다 한 차례씩 팬데믹 수준의 힘겨운 경험을 반복해 왔다. 그동안 전 세계에서 발생한 에볼라·뎅기열·콜레라·수족구·뇌수막염·황열·흑사병 등의 감염병을 고려하면 우리는 상시적인 팬데믹 위험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에도 그런 사정이 달라질 가능성이 없는 것은 분명하다.
인류의 과거는 더욱 참혹했다. 인류 역사가 팬데믹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로마·잉카·아스텍과 같은 화려한 제국들이 팬데믹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져버렸다. 흑사병·천연두·소아마비·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홍역·말라리아·디프테리아·결핵 등이 모두 인류 역사를 바꿔놓은 팬데믹이었다.
감염병과 팬데믹에 대한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는 인간을 응징하기 위해서 팬데믹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도심에 출현하는 멧돼지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박테리아도 더 나은 삶의 터전을 찾아 나섰을 뿐이고, 감염병은 그런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안타까운 갈등일 뿐이다. 우리가 무엇을 잘못한 것 아니냐는 죄책감은 팬데믹 극복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생태계와의 단절도 비현실적인 환상이다.
팬데믹을 극복하는 비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빌 게이츠가 권고한 전통적인 봉쇄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호주만 성공을 거둔 것이 아니다. 코로나19 발생지인 중국은 봉쇄 방역으로 훨씬 더 큰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극단적인 봉쇄에 의한 피해를 기꺼이 감당할 수 있는 국가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진단·추적·치료의 3T 방역이 훨씬 더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선택이다. 물론 방역 전문가들의 전문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과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을 무시하고, 감염 상황을 왜곡하는 어설픈 선무당급 교시(敎示)와 섣부른 포퓰리즘은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 우리가 지난 2년 동안 반복적으로 경험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