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배치했거나 전력화 예정 총망라…"다양한 탄도미사일 개발 가속화"
정세 불안에 대북 억제전력 과시…北의 잇단 무력시위에 '경고' 해석도
北이 두려워하는 F-35A에 L-SAM '명중'도…軍 핵심무기 영상공개
군 당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핵심 억제전력 영상을 '대방출'해 눈길을 끈다.

국방부는 28일 6분 분량의 '특별 동영상'을 일반에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이날 오전 열린 긴급 주요 지휘관회의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과 원인철 합참의장 등 군 지휘부가 시청한 자료다.

군지휘부가 시청한 영상을 일반에 공개한 것은 군이 대북 억제력을 충분히 확보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줘 과도한 안보 불안 심리를 잠재우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공개한 영상에는 군이 이미 실전 배치했거나 확보 예정인 육해공군의 무기가 총망라됐다.

단연 눈에 띄는 건 지난 23일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안흥시험장에서 진행된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 시험발사 성공 장면으로, 미사일이 발사된 뒤 대기권을 향해 치솟는 장면이 담겼다.

이후 일정 고도에서 가상의 표적 요격에 성공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화면도 포함됐다.

L-SAM은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 구현을 위한 핵심 요격미사일로, 탄도미사일이 고도 50∼60㎞에서 비행할 때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L-SAM이 배치되면 미사일 종말단계에서 상층부를 방어하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와 중층·하층 방어를 담당하는 요격체계와 함께 상호 보완 작용을 하며 운용되게 된다.

여기에 같은 날 진행된 '한국형 아이언돔'으로 불리는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를 구현한 시뮬레이션 화면도 실렸다.

수도권 일대 등에 요격미사일을 촘촘히 배치해 전방위로 날아오는 적의 미사일을 격파하도록 개발된다.

장사정포 요격체계는 여러 장소에 유도탄 발사대를 설치해 돔(둥근 지붕) 형태의 방공망으로 둘러싸 날아오는 장사정 포탄을 요격하는 개념이다.

이스라엘의 '아이언돔'과 같은 방식의 무기체계다.

국방부는 이날 영상에서 항공통제기 E-737, 탄도탄조기경보레이더, 중거리 지대공 요격미사일인 천궁-II, 패트리엇(PAC-2, PAC-3) 미사일 등 기존 주요 방어체계를 소개한 뒤 "여기에 L-SAM과 한국형 아이언돔의 시험발사 성공과 천궁-III 확보 등을 통해 다층 미사일 방어체계 구축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상에는 F-35A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한 주요 공중전력의 비행 장면도 포함됐다.

현재 40대 배치가 완료된 F-35A는 스텔스 기능으로 적지에 은밀히 침투해 핵과 미사일 시설, 전쟁 지휘 시설 등 핵심 표적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위력을 갖췄다.

방공망이 취약한 북한이 가장 위협적으로 느끼는 무기 중 하나다.

아울러 지난해 시험 발사 단계에서 공개된 적이 있는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고위력 탄도탄 배치가 이뤄진 사실도 공개됐다.

여기에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II를 비롯해 군 정찰위성, 경항공모함, 한국형 전투기 KF-21 전력화 계획 등이 소개됐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요 지휘관회의를 소개하면서 "장사정, 초정밀, 고위력의 다양한 탄도미사일 개발을 가속화해 전략표적에 대한 압도적인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중장거리 요격미사일 전력화 및 성능 향상을 통해 미사일 방어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방부가 전력화됐거나 개발 진행 중인 핵심무기체계를 일반에 공개한 건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상당수가 비닉(秘匿·비밀스럽게 감춤)무기인 만큼 군은 그간 언론에 보도가 나왔더라도 극도로 말을 꺼리는 등 신중한 입장을 취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이 '시험 발사'라는 명분으로 무력시위를 이어가면서 일각에서 야기되고 있는 과도한 불안 여론을 잠재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 청와대가 L-SAM 시험발사 성공 사실을 이례적으로 공개한 것 역시 같은 맥락으로 해석되고 있다.

동시에 우리 군이 갖춘 대북 전력을 과시하는 한편 북한을 향한 경고 메시지 발신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北이 두려워하는 F-35A에 L-SAM '명중'도…軍 핵심무기 영상공개
한편에선 남북 교착 국면에서 '맞불'을 놓는 식의 이런 대응은 긴장을 더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