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러시아 스위프트 축출 이어 보유 암호화폐도 제재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러시아 국민 보유 암호화폐 지갑 1200만 개 넘어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를 국제결제 시스템(이하 스위프트)에서 축출하기로 한 것에 이어 러시아의 암호(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추가 제재도 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 시각) 정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 경제활동에 대한 제재를 목적으로 암호화폐 영역을 분석 중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이 이 같은 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러시아가 스위프트 축출을 당하자 암호화폐 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실제 스위프트 제재가 확정되자 러시아 시민들은 달러와 암호화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모스크바 시민들은 달러가 품귀현상을 빚자 달러와 고정된 암호화폐인 ‘테더’ 등 이른바 스테이블 코인을 집중적으로 매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러시아 내 금융시장에서 암호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나라보다도 높다. 이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는 암호화폐에 대한 제재는 러시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러시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국민이 가진 암호화폐 지갑은 1200만 개가 넘으며 자금 규모는 약 2조 루블(약 23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지난해 8월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 3위의 비트코인 채굴국이다. 이같이 암호화폐 거래가 활성화된 이유는 다수의 러시아 국민이 현지 전통은행 시스템에 대해 불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바이든 정부 관계자는 "러시아의 암호화폐 제재는 더 넓은 시장을 파괴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교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규제 당국이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소와 중개업자들에게 특정 국가 또는 루블화 같은 특정 정부 발행 통화의 거래를 차단하도록 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다만 이러한 제재가 실제 적용되기에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있다.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규제기관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중앙 중개자가 없는 개인 간 거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 시각) 정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 경제활동에 대한 제재를 목적으로 암호화폐 영역을 분석 중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이 이 같은 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러시아가 스위프트 축출을 당하자 암호화폐 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실제 스위프트 제재가 확정되자 러시아 시민들은 달러와 암호화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모스크바 시민들은 달러가 품귀현상을 빚자 달러와 고정된 암호화폐인 ‘테더’ 등 이른바 스테이블 코인을 집중적으로 매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러시아 내 금융시장에서 암호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나라보다도 높다. 이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는 암호화폐에 대한 제재는 러시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러시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국민이 가진 암호화폐 지갑은 1200만 개가 넘으며 자금 규모는 약 2조 루블(약 23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지난해 8월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 3위의 비트코인 채굴국이다. 이같이 암호화폐 거래가 활성화된 이유는 다수의 러시아 국민이 현지 전통은행 시스템에 대해 불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바이든 정부 관계자는 "러시아의 암호화폐 제재는 더 넓은 시장을 파괴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교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규제 당국이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소와 중개업자들에게 특정 국가 또는 루블화 같은 특정 정부 발행 통화의 거래를 차단하도록 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다만 이러한 제재가 실제 적용되기에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있다.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규제기관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중앙 중개자가 없는 개인 간 거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