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은 李, 친문은 尹 지지…'이종교배' 판치는 대선판 [조미현의 국회 삐뚤게 보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전 대통령 동생인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지지한다고 2일 선언했습니다.
박 전 이사장 측은 이날 서울 여의도동 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선에서 동서 통합을 통한 평화통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호남통합권력'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는 단연코 이 후보라고 확신한다"는 내용을 담은 박 전 이사장의 지지선언문을 대독했습니다.
박 전 이사장은 이날 코로나19 확진으로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못했는데요. 박 전 이사장은 지지선언문에서 "이 후보를 지지하게 된 또 다른 큰 이유는 첫째, 유신론의 관념을 가진 '보수'가 '진보'를 포용해야 하는 법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민주당은 박 전 이사장을 선대위 총괄특보단 고문으로 임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에는 '박근혜 써포터즈' 등 보수 진영 7개 단체 회원들이 이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1일에는 친문(친 문재인) 단체인 '깨어있는 시민연대(깨시연)'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조국 수호 집회를 주도한 단체이기도 한데요.
이민구 깨시연 대표는 "저희 '문파'(강성 친문 지지층)가 윤 후보에게 '서초의 빚'이 있다"며 "빚을 앞으로 두고두고 갚겠다"고 했습니다. 윤 후보는 "여러분과 제가 중간에 서로 오해도 있었지만, 결국 우리가 부정부패 없고 깨끗한 다른 나라를 만들자고 하는 데 대해 서로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화답했습니다.
다른 정치적 지향성을 가진 개인과 단체가 이·윤 후보를 엇갈려 지지하고 나선 건 과거 대선에서 찾아보기 힘든 이번 대선만의 특징입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공약도 비슷한 데다 이념적 양극화가 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선거가 임박하자 양측이 세(勢) 확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선 후보 간 정치적 가치나 철학 경쟁이 치열하게 이뤄졌다면 이런 일이 생겼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역대급 비호감 경쟁만이 이뤄지는 이번 대선의 씁쓸한 단면입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박 전 이사장 측은 이날 서울 여의도동 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선에서 동서 통합을 통한 평화통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호남통합권력'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는 단연코 이 후보라고 확신한다"는 내용을 담은 박 전 이사장의 지지선언문을 대독했습니다.
박 전 이사장은 이날 코로나19 확진으로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못했는데요. 박 전 이사장은 지지선언문에서 "이 후보를 지지하게 된 또 다른 큰 이유는 첫째, 유신론의 관념을 가진 '보수'가 '진보'를 포용해야 하는 법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민주당은 박 전 이사장을 선대위 총괄특보단 고문으로 임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에는 '박근혜 써포터즈' 등 보수 진영 7개 단체 회원들이 이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1일에는 친문(친 문재인) 단체인 '깨어있는 시민연대(깨시연)'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조국 수호 집회를 주도한 단체이기도 한데요.
이민구 깨시연 대표는 "저희 '문파'(강성 친문 지지층)가 윤 후보에게 '서초의 빚'이 있다"며 "빚을 앞으로 두고두고 갚겠다"고 했습니다. 윤 후보는 "여러분과 제가 중간에 서로 오해도 있었지만, 결국 우리가 부정부패 없고 깨끗한 다른 나라를 만들자고 하는 데 대해 서로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화답했습니다.
다른 정치적 지향성을 가진 개인과 단체가 이·윤 후보를 엇갈려 지지하고 나선 건 과거 대선에서 찾아보기 힘든 이번 대선만의 특징입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공약도 비슷한 데다 이념적 양극화가 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선거가 임박하자 양측이 세(勢) 확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선 후보 간 정치적 가치나 철학 경쟁이 치열하게 이뤄졌다면 이런 일이 생겼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역대급 비호감 경쟁만이 이뤄지는 이번 대선의 씁쓸한 단면입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